![]() |
기회발전특구는 획기적인 조세감면·규제특례가 적용되는 특구를 지정·육성해 지역균형발전을 촉진하는 게 목표로,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하는 지역균형발전 정책이다.
송우경 산업연구원 지역정책실장은 14일 대전상공회의소와 산업연구원, 한국지역정책학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기회발전특구 신설을 위한 지역균형발전 전략 세미나' 토론회를 통해 이 같이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는 김성표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의 '기획발전특구 교육자유특구에 대한 소고'의 주제발표와 김재은 산업부 지역경제진흥과장, 김영빈 대전시 경제과학국장, 남궁호 세종시 경제산업국장, 송우경 산업연구원 지역정책실장 등이 토론에 참석했다.
송 실장은 토론을 통해 "과거를 돌아보면, 정부에서 균형발전과 관련한 추진은 20년 정도 되는데, 참여정부부터 직전 정부까지 각각의 핵심 사업이 떠오르는데 기회발전특구는 윤석열 정부의 대표적인 핵심 사업이 되지 않을까 싶다"며 운을 뗐다.
송 실장은 지역에서 고민하고 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각 지역마다 본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 할텐데, 대전·세종에선 기회발전특구에 어떤 기본계획을 수립·선정해 추진할 것인가 생각을 해야 한다"며 "가장 중요한 건 차별화"라고 했다.
송 실장은 "기업 입장에선 중앙정부가 제공하는 투자인센티브도 중요하지만, 각 지자체가 주는 인센티브 패키지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할 것"이라며 "지자체 입장에선 기회발전특구에 준비한다면 인센티브 외에 어떤 자체적인 인센티브를 주고, 성공적으로 기업들이 성공하게 할 것인가 라는 고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기회발전특구를 기존의 사업과 연계시켜 중심적인 공모사업으로 봐야 한다고 했다.
송 실장은 "대전의 경우 국토부에서 지정해준 도시융합특구와 공공기관 지방 이전과 관련한 준비를 하고 있는데 기회발전특구를 지역발전의 허브가 되는 중심적인 그릇과 같은 공모사업으로 봐야 한다"며 "대전은 네트워크 역량이 풍부해 이를 잘 활용해야 하며, 예비 기회발전특구에 올 수 있는 기업 리스트를 보고, 수요를 파악해 본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선도적으로 도입했던 미국의 문제점을 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성표 책임연구원은 "선도적으로 도입한 미국의 사례를 보면 특정 지역 내 부동산과 기업 대상 투자에 대해 구분 없이 세제 지원을 제공했지만 부동산 투자만 활성화 됐다"며 "미국의 문제점을 통해 기업으로 세제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부동산에 대한 투자는 공익성을 고려해야 하고 기업의 지방투자에 대한 직접적인 세제지원이 지원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