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일보-충남대 세계시민교육 미래인재양성사업단 공동캠페인]동물권에 대한 인도적 의식 가져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중도일보-충남대 세계시민교육 미래인재양성사업단 공동캠페인]동물권에 대한 인도적 의식 가져

충남대 세계시민교육 미래인재 양성사업단, 지역민 대상 ‘동물권 의식’ 조사 결과 발표
동물 생명권은 기본권리... 93%가 동의
과학계 동물실험은 불가피

  • 승인 2023-01-03 10:33
  • 신문게재 2023-01-04 10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1
대전·세종·충남 주민들은 동물권의 개념을 인지하고 동물권을 옹호하고 있으며 동물권의 확산에 많은 관심을 보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충남대 교육학과 BK21 세계시민교육 미래인재 양성사업단(단장 김정겸)은 대전·세종·충남지역민을 대상으로 정기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가운데, 여덟 번째 주제로 '동물권 의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업단은 대전·충남·세종 20세 이상 성인 540명(남성 279명, 여성 26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대전·세종·충남지역의 성인들 가운데 '동물권이라는 용어를 들어보신 적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29.1%), 들어본 적은 있으나 의미는 자세히 알지 못한다(28.3%)고 응답한 비율은 57.4%였다. 들어본 적이 있고 그 의미를 어느 정도 알고 있다(35.7%), 그 의미를 매우 잘 알고 있다(6.9%)고 응답한 비율은 42.6%로, 동물권의 개념을 인지하고 있는 주민들보다 동물권의 개념을 인지하지 못하는 주민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귀하는 동물에게도 생명권 등 기본적인 권리가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 매우 동의한다(25.6%)와 동의한다(67.8%)는 응답이 93.4%를 차지한 반면, 동의하지 않는다(5.7%)와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0.9%)는 응답은 6.6%에 불과했다. 지역 주민들은 동물권이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별로 없을지라도, 동물에게 생명권 등 기본적인 권리가 있다는 내용에는 대체로 동의하고 있어 동물권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3
"동물권으로 보호되어야 하는 동물의 범위가 어디까지라고 생각하십니까?"(복수응답 가능)라는 질문에 대해 반려동물(90.4%, 488건), 동물원에 있는 동물(65.2%, 352건), 연구 및 실험을 목적으로 키우는 동물(40.4%, 218건), 도심에 서식하는 야생동물-길고양이, 비둘기, 들개(38.5%, 208건), 야생동물-멧돼지, 고라니, 고래 등(34.3%, 185건), 식용을 목적으로 키우는 동물-돼지, 소, 닭 등(28%, 151건) 순이었다.



동물실험과 관련해 "과학계의 동물실험을 어느 정도 허용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절대 허용해서는 안 된다(5.5%), 대부분 허용해서는 안 된다(18.3%), 어느 정도 허용해야 한다(71.7%), 전면 허용해야 한다(5.9%)의 결과가 나타났다. "과학계의 동물실험이 윤리적이고 정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전혀 정당하지 않다(8.5%), 별로 정당하지 않다(45.0%), 대체로 정당하다(43.7%), 매우 정당하다(2.8%)라고 응답하였다. 지역 주민들은 과학계의 동물실험이 윤리적이고 정당하지 않더라도, 과학계의 발전을 위해 어느 정도 허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된다.

국내에서 2017년부터 동물실험을 통해 만들어진 화장품의 제조, 판매를 금지하는 화장품법 개정안이 적용되고 있다. 이 개정안에 대해 이 지역 주민들은 매우 동의하지 않는다(3.9%), 동의하지 않는다(25.0%), 동의한다(59.3%), 매우 동의한다(11.9%)로 나타났다. "동물실험의 대안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며 이용을 촉진시키는 법안 도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관련해, 매우 반대한다(1.1%), 대체로 반대한다(7.0%), 대체로 찬성한다(65.6%), 매우 찬성한다(26.3%)로 응답했다. '동물학대'와 관련해 동물에게 물리적인 폭력으로 고통을 가하는 것(79.1%)에 대해 대부분 동의했으며, 그 외에도 미용 혹은 소음을 이유로 반려동물의 신체를 변형시키는 것-꼬리 절단, 귀 절단, 성대수술 등(7.6%), 반려동물이나 가축에게 규칙적인 식사와 물을 제공하지 않는 것(4.3%), 반려동물이나 가축을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키우는 것(4.1%) 등을 응답했다.

4
"귀하는 개 식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부정적으로 생각한다(30.9%),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편이다(40.0%),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편이다(28.0%),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한다(1.1%)고 답변해 대부분의 주민들은 개 식용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함을 알 수 있었다. '공장식 사육'에 대해서는 비용 절감을 위해서 어느 정도는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45.4%), 적은 비용으로 육류를 먹을 수 있기에 긍정적으로 생각한다(9.1%) 등 공장식 축산에 대해 유보적인 의견과 비용 절감보다는 동물 복지를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28.3%), 공장식 축산에 적극적으로 반대한다(17.2%) 등 공장식 축산에 반대하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는 편이다.

"채식주의(비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부정적으로 생각한다(4.3%),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편이다(25.6%),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편이다(65.6%),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한다(4.6%)로 응답했다. 채식주의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주민들은 채식만으로 건강한 식단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21.1%), 채식주의자들의 교조주의나 유난히 싫어서(11.1%), 인간은 잡식동물이기 때문에(6.7%), 육식이 채식보다 훨씬 맛이 좋기 때문에(4.4%) 등으로 응답했다.

5
'동물권 교육'과 관련해 "동물권 교육이 얼마나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전혀 필요없다(0.7%), 필요없는 편이다(5.9%) 등 부정적인 응답보다, 필요한 편이다(69.8%), 매우 필요한 편이다(23.5%) 등 긍정적인 응답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또한 동물권 교육에 참여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 전혀 참여하고 싶지 않다(3.0%), 참여의향이 없는 편이다(26.1%), 참여의향이 있는 편이다(62.2%), 매우 참여하고 싶다(8.7%)로 응답하면서 과반수 이상의 주민들이 동물권 교육에 참여의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물권 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동물학대 예방(477건), 동물 실험문제(214건), 가축에 대한 처우(144건)와 동물원에 있는 동물 처우(142건) 등이었다.

6
김정겸 단장은 "우리 지역 주민들은 동물권에 대해 인도적인 의식을 가지고 있지만, 과학계의 동물실험 및 공장식 축산에 대해 합의된 의견은 부족한 상황"을 지적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산시, "걷기로 건강도 혜택도 챙기세요"
  2. 천안 다가동 예식장 연회장서 천장 마감재 떨어져 하객 10명 부상
  3. 전통시장 수산물 구매, 최대 30% 환급 시작
  4. 어촌마을 워케이션, 바다와 함께 일하며 쉼표 찍는다
  5. '노후 원양어선' 대체 건조 본격화...6월 중 최종 사업자 선정
  1. aT, 무궁화 보급 유공자에 표창 수여
  2.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3. 상명대, 소수정예 웹툰작가 양성사업 선정 및 참여 교육생 모집
  4. '소 써레질·손 모내기' 특별한 광경...5월 21일 만난다
  5. 농촌진흥청, 봄철 농작물 생육 부진 대책 마련

헤드라인 뉴스


대선 본선레이스 돌입…충청현안 골든타임

대선 본선레이스 돌입…충청현안 골든타임

12일부터 제21대 대선 공식선거 운동이 막을 올리는 가운데 충청권 핵심 현안의 대선공약 관철을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선 본선레이스에서 각 당 후보들로부터 대통령실 및 국회 세종 완전이전, 대전 충남 공공기관 제2차 이전 등 해묵은 지역 현안 관철 약속을 받아내야 하는 '골든타임'에 돌입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은 12일부터 6·3대선 하루 전인 다음달 2일까지 22일 간 열전을 벌인다. 본선레이스 돌입 이후엔 각 후보와 정당이 17개 시도 공약(公約..

21대 대선, 12일부터 공식선거운동 돌입… `충청의 선택` 촉각
21대 대선, 12일부터 공식선거운동 돌입… '충청의 선택' 촉각

12일부터 21대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서 충청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이 이번 대선에 나서면서 3파전 구도가 짜여졌다. 특히 대선 필승을 위해 반드시 잡아야 하는 최대 승부처이자 전통적 캐스팅보터 인 충청 민심을 잡기 위한 3주간의 치열한 선거전이 펼쳐질 전망이다.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2일부터 대선 전날인 6월 2일까지 누구든지 공직선거법에 제한되지 않는 방법으로 선거운동이 가능하다. 후보자와 배우자, 직계존비속, 후보자와 함께 다니는 선거사무장·..

대선후보들 `감세 공약` 봇물... 세수결손, 0%대 저성장은 어쩌나
대선후보들 '감세 공약' 봇물... 세수결손, 0%대 저성장은 어쩌나

국민의힘이 대선주자로 김문수 후보를 공식화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 주요 정당들의 대선 대진표가 완성됐다. 이들 후보들은 잇따라 감세 공약을 내놓으며 민심을 잡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지만, 재원 확보 방안이 뒷받침되지 않아 '표풀리즘'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주요 대선주자들의 감세 공약을 보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법인세 최고세율을 현행 24%에서 21%로 인하하고, 상속세 최고세율을 OECD 평균 수준인 26%로 낮추며,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을 물가상승률에 연동하는 세제 개편안을 제시했다. '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선 선거운동 앞두고 선거범죄 예방, 단속 회의 실시 대선 선거운동 앞두고 선거범죄 예방, 단속 회의 실시

  • 봄비가 와도 즐거운 제14회 월화수목 대전달빛걷기대회 봄비가 와도 즐거운 제14회 월화수목 대전달빛걷기대회

  •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