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디세이] 인연이라고 하죠

  • 오피니언
  • 시사오디세이

[시사오디세이] 인연이라고 하죠

양성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장

  • 승인 2023-07-10 08:44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양성광 원장
양성광 원장
"인연이라고 하죠. 거부할 수가 없죠. 내 생애 이처럼 아름다운 날 또다시 올 수 있을까요. (중략)이 생에 못한 사랑, 이생에 못한 인연. 먼 길 돌아 다시 만나는 날 나를 놓지 말아요." 이 곡은 가수 이선희가 2005년에 드라마 ‘다모’를 보고 느낀 바를 담아 만들었다고 한다.

이 노래에는 연인과 헤어지는 아픔뿐만 아니라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지고, 떠난 사람은 반드시 돌아오게 되어있다는 불경에서 인연에 대한 가르침, '회자정리(會者定離), 거자필반(去者必返)'도 담긴 것 같다. 연인과 헤어짐은 당장에는 절절하겠지만, 후에 다시 만난다면 그 감정이 그대로 되살아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연인과의 사랑도 그럴진대, 하물며 스쳐 지나간 수많은 인연은 또 어떻게 남을까.

20대에 오지에서 첫 근무를 시작할 때 나에게 일과 인생을 함께 가르쳐주던 직속 선배를 지난주 서울에서 개최된 세계한인과학기술인대회에서 우연히 만났다. 캐나다에 이민 가 살고 있어서 한동안 만나지 못했지만, 늘 소식이 궁금했던 선배다. 무척 반가웠는데 막상 몇 마디 못 해 보고 다른 무리에 휩쓸려 눈인사로 헤어지게 됐다. 그런데 저녁에 따로 만나 노포에서 술잔을 기울였다면 그 선배와의 인연은 진행형이 될 수 있었을까? 어쩌면 얘기를 나누고 픈 진짜 이유는 나의 추억 소환용이었지 않았을까? 흐릿한 기억도 되살리고 맞게 수정하기보다는 추억으로 남겨두는 것이 더 좋을 때가 있다.

요즘은 연락이 끊긴 지인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궁금하면 인스타그램 등 SNS나 인터넷을 뒤져 찾아볼 수 있으니 좋은 세상이다. 그 사람은 인스타그램에 자기의 얘기를, 자기의 관심사를 올리겠지만, 우리는 가상공간에서 그의 일상과 연결돼 인연을 이어가고 싶어 하는지도 모른다. 모르는 사람도 관계를 맺으려면 그 사람의 SNS 계정을 팔로우하기만 하면 되는 세상이다.



팬들은 좋아하는 스타와 특별한 인연을 맺고, 그의 일상을 공유하고자 카페 회원이 된다. SNS에서는 주로 일방의 팔로우로 끝나지만, 어떤 때는 의기투합해 서로 맞팔하기도 한다. 그러나 개인에게 DM(Direct Message)을 보내 즐겁게 소통하다가도 수가 뒤틀리면 현실로 찾아가 칼부림도 마다치 않는 화끈한 세상이다.

죽기 전에 한 번 더 봤으면 하는 인연 중에는 나처럼 SNS와 친하지 않아서 좀처럼 추적이 안 되는 이도 있다. 그런데 그 사람도 여전히 나를 기억의 한편에 추억으로 저장해 두고 있을까? 어릴 적 추억으로 가끔 생각나던 이가 김 서린 유리창에 새겨진 글자처럼 슬며시 사라지는 일이 자꾸 늘어가는 것을 보니 이제 나도 나이를 먹고 있나 보다. 그 아이의 이름은 이미 잊었지만, 그 기억은 추억으로 어슴푸레 남아있다. 아니 기억을 떠올려서 추억으로 남고, 그 추억을 기억이라 착각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이러한 기억마저 세포 노화로 줄어드는 텔로미어(Telomere)처럼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 나를 슬프게 한다.

요즘 카톡방은 소규모 친목 모임이었다가 몇 개가 합쳐져서 몇백 명 규모로 진화하는 일이 잦다. 여기에서 가끔은 기억 속에서 사라졌던 지인들의 소식을 접해 반가울 때도 있으나, 시도 때도 없이 울려대는 "카톡왔숑"은 조용한 탈퇴를 고민하게 만들기도 한다.

어떤 때는 업무 때문에 갑자기 연락할 일이 있어서 알던 사람을 찾으려 하는데 이름이 기억이 안 나 전화번호부에서 찾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거꾸로 어떤 사람은 전화번호에 저장돼 있는데, 누구인지 전혀 기억을 못 할 때가 있다. 내게는 인연이었는데 상대방에게는 그저 스쳐 지나갔던 행인 1, 2이었을 수도 있고, 나는 기억을 못 하는데 상대방에게는 소중했던 추억이거나 끔찍했던 트라우마이었을 수도 있다.

인생 2막에 있는 나에게 인연은 회자정리 후 거자필반의 의미가 강하다. 그러기에 어쩌다 시작한 새 직장에서 맺게 될 새로운 인연은 나에게는 커다란 도전이다. 나의 추억 만들기보다는 상대방에게 거자필반의 인연이 되도록 옷깃을 여미고 귀를 열어야겠다.

/양성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사)한국청소년육성연맹, 관저종합사회복지관에 후원물품 전달식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