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디세이] 낭떠러지인데 걱정만 하고 있으면 희망이 없다

  • 오피니언
  • 시사오디세이

[시사오디세이] 낭떠러지인데 걱정만 하고 있으면 희망이 없다

양성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장

  • 승인 2023-10-30 08:44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양성광이사장
양성광 원장
끓는 물에 개구리를 집어넣으면 튀어나오지만, 찬물에 넣고 서서히 온도를 높이면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고 죽는다는 얘기가 있다. 과학자들은 개구리를 끓는 물에 넣으면 반대로 화상으로 죽지만, 찬물에 넣고 온도를 높이면 탈출한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비유는 진위를 떠나 인구절벽과 고령화, 지방소멸 같은 이 시대가 처한 위기에 딱 맞는 표현이다.

대한민국의 2022년 합계출산율은 0.78명인데, 올해는 0.73명으로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합계출산율이 세계에서 가장 낮고, OECD 국가 중 출산율이 0명대인 유일한 나라다. 아이가 사라지고 노인만 남는 나라에 미래가 있을까? 오죽하면 세계적인 석학 美 캘리포니아주립대의 조앤 윌리엄스 교수는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 와! 그 정도로 낮은 수치의 출산율은 들어본 적도 없어요."라는 반응을 보였을까.

2021년 7월 감사원은 인구구조변화 대응실태보고서에서 대한민국은 50년 이내에 인구가 절반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일본은 출산율이 1.34인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출산장려 대책을 폈음에도 2022년 현재 합계출산율 1.31로 저출산 국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합계출산율이 1.4로 떨어진 1996년에야 비로소 산아제한 정책을 중단했을 정도로 무감각했고, 지금은 유례가 없는 속도로 감소하고 있어서 출산율이 어디까지 떨어질지 가늠조차 안 된다.

우리는 무엇이든 세계 1등을 해야 속이 시원한 화끈한 민족이므로 이렇게 애를 태우다가도 언제 또 유행이 확 바뀌어서 OECD 출산율 1위로 올라설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나라의 명운을 이렇게 요행에만 의존할 수는 없다. 더구나 우물쭈물하다가는 노동력 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회복불능의 무기력증에 빠져 치유가 아예 불가능해질 수 있다.



지방소멸 문제도 인구감소 못지않게 심각한 문제이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10년 49.3%이던 수도권 인구비중은 2022년 50.5%로 증가했고, 2030년엔 51.4%, 2050년 53.0% 등으로 심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서울은 병원과 문화시설, 교육환경 등이 잘 갖춰져 있으나, 정작 출산율은 전국에서 가장 낮아(0.53명) 서울에 인구가 집중될수록 출산율은 더 내려가는 악순환이 예상된다.

정부는 지난 17년 동안 440조원의 예산을 저출산 대책에 쏟아부었지만, 가시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지난 정부에서는 저출산을 직접 해결하는 정책을 포기하고, 고령화 시대 적응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이라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비혼 문화의 확산으로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의 비율이 2012년 56.5%에서 2022년 36.4%로 감소했고, 불임 커플과 딩크족의 증가로 출산율은 더욱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더욱이 치솟는 집값과 고물가, 고금리 등으로 출산율 반등은 당분간 꿈도 꾸기 어려워 보인다.

그런데, 이렇게 인구절벽의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도 지금 당장 튀어나오지 않고 냄비 속에서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걱정하고만 있을 것인가? 저출산 문제는 일-육아 병행 환경과 자녀 교육문제 등 청년들이 결혼과 출산을 주저하게 하는 근본적인 요인과 연계돼 있다. 청소년들은 학교와 학원으로 뺑뺑이 도는 삶에 지치고, 경쟁에서 도태될까 두렵고, 그런 삶을 내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도 싫고, 자녀들을 뒷바라지하는 부모의 희생 역할도 자신이 없어서 아이를 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우리 아이들의 삶이 너무 팍팍하고 경쟁적이지 않도록 사회구조의 개혁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저출산 문제는 결국 나와 내 가족의 생존 문제로 이어진다. 사회 전반에 걸친 불균형을 바로 잡고 가진 자가 기득권을 내려놓는 혁신적인 조치가 없으면 우리 모두 결국 끓는 물 속의 개구리 꼴이 될 수 있다. 서울 소재 대학 신입생과 지방 공공기관 신입직원의 반을 지방 출신으로 선발하고, 육아 휴직은 동료의 눈치를 보지 않게 1년간 유급으로 지원하면 어떨지 하는 발칙한 생각을 해본다. 이도 저도 아니면 단일 민족 국가 포기를 선언하고 캐나다와 같은 이민 정책을 서둘러야 살아남을 수 있다.

/양성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4.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