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디세이] 도시는 젊은이가 살린다

  • 오피니언
  • 시사오디세이

[시사오디세이] 도시는 젊은이가 살린다

송복섭 한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승인 2024-01-22 15:55
  • 신문게재 2024-01-23 18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2023120401000190300005941
송복섭 교수
요즘 젊은이들에 대한 평이 그리 좋지만은 않은 것 같다. 젊은이들이 버릇이 없다는 말은 기원전 1700년경의 수메르 점토판에도 나온다고 하는데, 요즘이야말로 그 울림이 더 크게 들린다. MZ라고 하여 이해 못 할 왕따로 분류하거나 출산율이 떨어져 나라가 망할 것이라는 힐책도 그들에게 돌리는 듯하다. 한때는 나라의 동량이니 역군이니 하여 무한한 기대의 대상이기도 했는데 어쩌다 천덕꾸러기가 되어버린 것일까?

사실 젊은이는 사회를 역동적으로 이끄는 주역이다. 유행도 그들이 주도하며 사업도 그들이 나서야 돌아간다. 젊은이들이 모여야 활기가 돌고 새로운 콘텐츠가 만들어진다. 그리하여 K-POP이 탄생했고 K-Culture라는 장르가 세계적으로 환영받는 세상이 되었다. 그런데도 사회는 이들에 대해 인정하거나 대우하는데 인색한 형편이다. 오히려 그들이 만든 과실을 거저 가져다가 돈 버는 일에 열중한다.

도시공간도 마찬가지이다. 젊은이들이 많이 모여 소위 '핫플레이스'를 만들어놓으면 건물주인 어른들이 '물 들어올 때 노 젓는다'면서 임대료를 올리고 권리금을 매기는 데 혈안이다. 애초에 가진 것 없는 젊은이들이 저렴한 지역을 찾아 둥지를 튼 것인데, 결국 보금자리를 빼앗고 이들을 몰아내는 형국이다. 다시 젊은이는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고, 또 그곳이 활성화하면 부동산이 올라 또 떠나는 젠트리피케이션이 반복된다.

사람이 모여 사는 곳이 도시지만, 도시에도 엄연한 중심이 존재한다. 그래서 도시를 설계할 때도 밀도가 가장 높은 상업·업무지구를 중심지로 설정한다. 중심지로 교통이 몰리고 시장이 발달하며 행정기능도 집중한다. 당연히 수요는 많은데 공간이 한정적이다 보니 땅값도 오르고 물가가 비싸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그 중심에는 없는 것이 없고 사람이 많아 자연스레 젊은이들의 발길을 끌어모은다. 이 비싼 중심에 가난한 젊은이들을 머물게 하는 방법은 없을까?



젊은이를 소비 주체로 보는 게 아니라 창조적 생산자이자 유망한 투자자로 보면 많은 게 달리 보인다. 투자자는 천금을 주고라도 모셔와야 하기 때문이다. 고사성어 중에 '천금매골(千金買骨)'이란 말이 있다. 천리마를 원하던 왕을 위해 이미 죽어버린 천리마의 뼈를 천금을 주고 사 온 신하에게 왕이 쓸모없다고 화를 냈지만, 천리마의 뼈조차 천금을 아끼지 않는 왕이 있다는 소문이 나서 결국 천리마가 쇄도했다는 고사다. 도시가 활력을 얻기 위해서는 젊은이들이 필요한데, 이들을 모셔오기 위해선 그만큼의 조건들이 만들어져야 한다.

세종시 중심상가 지역에는 유난히 공실률이 높다. 오래 빈 곳으로 둘 바에야 임대료를 낮추자고 제안하면 건물주가 버럭 화를 낸다는 기사를 읽었다. 임대료를 낮추는 순간 건물의 가치가 그만큼 떨어진다는 얘기다. 초기에 거품이 끼었다고도 하지만 지금에 와서 투자가치 이하로 떨어뜨리는 건 선뜻 동의하기 어려운 일이다. 여기서, 남아도는 오피스텔에 정부나 지자체가 청년 주거 지원금을 건물에 임대료로 지급하는 건 어떨까? 대상자가 바뀌더라도 사람이 아니라 건물에 지원금을 지급하다 보니 임대료가 낮아져 건물 가치가 떨어진다는 건물주의 걱정은 덜 수 있을 것이고, 청년들은 매력적인 도심에서 맘껏 창조적 생산자로 활동 할 수 있을 것이다. 덩달아 식당도 활기를 되찾고 새로운 놀거리가 창업으로도 이어질 것이다.

차제에 추진하고 있는 공동캠퍼스도 좀 다른 방향으로 구상해보는 것도 좋을 듯싶다. 교육과 연구의 핵심 시설은 계획된 부지에 자리하지만, 기숙사의 경우는 도시 중심에 적절히 분산해서 배치하는 방법이다. 세종시가 공실과 부족한 숙박시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심지역 일부에 대해 상가 허용용도를 완화한 정책과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된다. 언뜻 청년을 위한 주거대책인 것 같지만 그 파장은 만만치 않을 것이다. 젊은이는 도심에서 잠만 자지 않는다. 먹고 소비도 하지만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생산적 창조자로 역할 할 것이다. 그들 덕에 우리도 먹고살 수 있다.

/송복섭 한밭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2.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3. 유성선병원 변승원 전문의, 산부인과내시경학회 학술대회 우수상
  4. 대전시의사회, 성분명 처방 의무화 반대 성명…"의약분업의 기본 원칙 침해"
  5. 자치경찰제 논의의 시작은..."분권에 의한 민주적 통제 강화"
  1. 함께 노래하는 대전 의사들 20년 맞이 정기공연…디하모니 19일 무대
  2. 아산시 소재 고등학교에 나흘 사이에 2번 폭발물 설치 허위 신고
  3. 나에게 맞는 진로는?
  4.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5. 대전대덕우체국 노사 재배 고구마 지역에 기부

헤드라인 뉴스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간선급행버스체계인 BRT '바로타' 이용자 수가 지난해 1200만 명을 돌파, 하루 평균 이용객 3만 명에 달하며 대중교통의 핵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행복청은 '더 나은 바로타'를 위한 5대 개선 과제를 추진해 행정수도 세종을 넘어 충청권 메가시티의 대동맥으로, 더 나아가 세계적 BRT 롤모델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강주엽·이하 행복청)은 행복도시의 대중교통 핵심축으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한 BRT '바로타'를 세계적 수준의 BRT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17일 밝혔다. 행복청에 따르면..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육군 제32보병사단은 10월 16일 세종시 위치한 예비군훈련장을 첨단 ICT(정보통신기술)를 융합한 훈련시설로 재개장했다. 제32보병사단(사단장 김지면 소장)은 이날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세종 과학화예비군훈련장 개장식을 갖고 시설을 점검했다. 과학화예비군훈련장은 국방개혁 4.0의 추진과제 중 하나인 군 구조개편과 연계해, 그동안 예비군 훈련 간 제기되었던 긴 대기시간과 노후시설 및 장비에 대한 불편함, 비효율적인 단순 반복형 훈련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추진됐다. 제32보병사단은 지난 23년부터..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