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장우 대전시장(사진 왼쪽)과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난해 11월 21일 대전 중구 옛 충남도청에서 열린 행정통합 추진 공동선언 행사에서 입장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일각에서는 특정 정치인의 단순한 체급 상향 또는 외연 확장 시도를 넘어 충청권의 실질적인 발전을 이끌 진정성 있는 공약과 선거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 시장이나 김 지사가 실제 대선링에 오른다면 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 공약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두 인사 모두 여의도 '배지' 출신 광역단체장으로. 국정과 지방행정을 모두 경험했기 때문에 나오는 분석이다.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선 정부 예산 확보와 국회 입법 등이 핵심인데 이에 대한 해법을 이 시장과 김 지사가 알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 지역현안으로는 대통령실 및 국회 완전 이전 등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이다.
이 사안은 문제는 역대 대선 때마다 단골 공약으로 제시됐지만, 번번이 무산돼 희망고문으로만 남아있다.
그러나 충청권 출신 후보가 대선링에 오른다면 나와 560만 충청인의 염원이자 국가균형발전 백년대계인 이 문제에 대해 확실히 국민 공감대 형성에 나서 줄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 충남 혁신도시 공공기관 제2차 이전도 마찬가지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2020년 전국에서 11~12번째 혁신도시로 지정됐다. 예정지는 대전의 경우 대전역세권과 연축지구, 충남은 도청이 있는 내포신도시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는 물론 윤석열 정부를 지나도록 제2차 공공기관 이전 로드맵이 나오지 않으면서 수년 째 무늬만 혁시도시로 전락해 있는 상황이다.
수년 째 진전이 없이 제자리 걸음인 상황인데 각각 혁신도시 예정지구가 있는 대전시와 충남도 수장이 대선링에 나온다면 이 사안에 대해 드라이브를 걸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이밖에 대전교도소 이전 가로림만 해양정원 조성, 청주공항 활성화 등 해묵은 다른 현안의 해갈 기회도 넓어질 전망이다.
다만, 이번 대선이 특정 정치인들의 단순한 몸집 불리기에 그쳐선 안된다는 우려도 있다.
국민통합과 국가균형발전 등 확실한 미래비전 없이 정치적 손익계산 등으로 대선링에 뛰어든다면 조기대선 정국에서 충청 발전을 위한 긍정적 효과보다는 시도정 공백 우려 등만 팽배해 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육동일 충남대 자치행정학과 교수는 "충청권에서 출마할 후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충청권의 현안 이슈를 공약으로 내세울 수 있는 정책이나 협력이 필요하다"며 "이번 대선 출마를 통해 충청권이 단합하고 지지해 충청대망론이란 꿈을 실현하는 마중물이 돼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희성 단국대 정책경영대학원 교수는 "진정으로 대선을 출마하고자 했다면, 출마 결정에 앞서 국가의 비전이나 경제, 외교 등 산적해 있는 국가 과제를 고민해 온 흔적이 있거나 그에 대해 논의하는 게 순서"라며 "이번 출마가 단순히 정치 체급을 올리려는 포석이 아닌 대선주자까지 내다 보고 충청의 현안이나 발전 공약을 내세우는 발판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