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하추동]멈춤은 변화를 이끄는 시간의 끈

  • 오피니언
  • 춘하추동

[춘하추동]멈춤은 변화를 이끄는 시간의 끈

김충일 북-칼럼니스트

  • 승인 2025-04-15 16:57
  • 신문게재 2025-04-16 18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김충일 북칼럼니스트
김충일 북-칼럼니스트
삶은 『끈』이다. 끈은 일상의 소소한 일에서부터 우주적 사건까지 아우른다. 세상사(시간 위의 일)는 굵은 씨줄과 가는 날줄로 질서정연하게 때론 뒤엉켜 있기에, 끈은 관계 속의 상황을 매거나 묶기 위해, 또는 꿰매기 위해 사용한다. 게다가 끈은 길고 짧기도 해서 직선과 순환적 사유의 폭과 넓이를 수렴하거나 확산시키기도 한다. 하여 사람들은 끈을 가지고 갖가지 빛깔의 삶이란 옷을 지어내는 직조공이 되기도 한다.

시내 카페에 앉아 방금 전 옆 서점에서 구입한 책을 읽다가 주변을 살펴보니 한 테이블에 앉아 있는데 누군가는 얘기를 하고 누군가는 듣고 누군가는 딴 생각을 하고 누군가는 스마트폰을 만지고 있다. 우리는 한 장소에서도 다층적인 관계의 끈에 매달려 있다. 어느 때는 끈이 나를 동여매거나 풀어 주기도 하지만, 내가 끈을 붙잡고 있는 게 아니라 끈이 나를 풀어주는 것 같기도 하다. 이렇듯 끈은 세상과 접속하는 마음의 바깥이고, 몸의 안쪽이 된다.

끈은 사방으로 뻗어가고 누구에게나 아무 곳에서나 일상의 리듬에 따라 다채로운 수(繡)를 놓는다. 하루가 흘러감은 온몸으로 느끼는데 온 정신은 산만하기만 한 사월의 한 복판이다. 일상을 겪어내는 시선의 결을 잇고 정리된 초점을 맞추기가 힘들다는 말이다. 맥없이 부릅뜬 아파트 CCTV처럼 요즘 내 일상은 무엇 하나 마음에 간곡히 담을 수 없어 마음의 괄약근을 놓아버린 헝클어진 마음의 끈에 다름 아니다.

이런 때 스스로가 우연과 필연의 흐름에 의해 연결되는 시간의 끈을 의심하기 시작하면 일상은 더욱 힘들어진다. 나는 왜 과거를 지나 이렇게 오늘을 살아가며, 미래를 예단하는 나를 믿지 못하는 걸까. 스스로를 의심하고 믿지 못하면 괜찮지 않다. 결국 나의 시간의 끈을 부여잡고 흔드는 건 나뿐이기에. 시간의 끈은 나의 몸을 옥죄고, 닫힌 마음의 문을 허허롭게 풀어 놓는다. 이런 가난한 마음의 끈이 우리들의 일상을 고통스럽게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때 팽팽하게 나를 옥죄거나 풀어낸 가난한 마음과 단절된 시간의 끈을 느긋하게 숨죽이기 위해선 멈춤과 머무름의 끈을 마련해야 한다. 멈춤은 끊어내는 일(stop)이 아니라 머무르는 일(stay)이다. 머무르라는 명령은 멈추라는 게 아니다. 머무른 상태에서 계속 자라기, 멈춤을 머금은 채 성장으로 이끄는 힘(끈)이다. 멈춤 다음에 오는 변화는 더 나은 방식으로 스스로를 세우며 달라지는 삶이다. 그렇게 멈춤의 끈에는 기대와 고요, 긴장과 유연함이 고루 들어 있다.

쏟아지는 졸음에 잠시 책을 내려놓은 그 몽롱한 그 상태, 그런 현실 속에서 꿈같은 유토피아를 찾아서 멈춰 머무르는 상태가 좋은 삶으로 이끄는 끈이 아닐까. 보다 나은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 질문이나 곱씹으며 머리를 긁적이기만 할 일이 아니다. 이럴 땐 이 곳이란 공간을 저곳이란 장소로 슬며시 소풍(逍風)을 떠나 볼 일이다. 어릴 적 매 학기마다 찾아와 가슴 설레게 했던 '소풍'을. 내 삶 속 일상의 소풍은 언제였던가?

한자를 찾아보니 소풍은 '노닐 소(逍)'에 '바람 풍(風)'자를 쓴다. 지문을 남기지 않는 바람의 손처럼, 관계의 끈을 놓아버리고 하릴없이 세상 귀퉁이를 만지작거리다 돌아오는 일이 소풍이다. 들인 돈만큼 왠지 본전을 뽑아야 할 것 같은 무언가를 움켜쥐려는 일이 아니다. 예기치 않게 나를 놓고 나를 잊으며 나로 가득한 뜻밖의 웃음의 끈을 몸에 감고 돌아오는 게 소풍이다.

이를 위해 우리 모두 소풍의 끈을 잡아 당겨보자. 주위를 둘러보면 죄다 바쁜 사람들이다. 하지만 그들을 멈춰 세워, 마실(근처에 사는 이웃에 놀러가는 일) 보다 조금 무거운 소풍에 나서보자. 후유증과 추억, 피로나 여흥과 같은 별다른 것을 남기지 않고 이곳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바람 냄새 정도를 머리카락에 묻혀오는 일말이다. 이렇듯 소풍은 잠시 멈춰 쉰 나에게 주는 몸과 마음의 선물이다.

시절의 끈인 봄날이 가고 있다. 낡아가는 사실과 잊혀 진 진실 중에 무엇이 더 옳고 나쁜 끈인지… 어떤 일의 상태도 모르면서 제대로 된 일을 꾸리기도 전에 왜 서툰 말(話) 끈을 휘두르는지… 진짜 좋은 일상의 끈은 어디에 매여 있는지… 세상만사 셀 수 없을 만큼의 끈으로 엉켜있지만 순리적으로 오지 않는다는 것을 모르진 않는다. 그렇지만 잠시 멈춰 서서 봄 소풍이란 끈을 일상에 매어보자. 봄 뒤에는 반드시 여름의 끈이 매여져야 한다. <김충일 북-칼럼니스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2. 인천의 '극지연구소'는 부산 이전 불발...세종시는?
  3.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4.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5.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1.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2.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게임 좋아하던 중학생, 게임 개발자가 되다
  3. 집현동 테크밸리, 나성·어진·대평동 공실 지역 연계 필요
  4.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5. 서천 호우주의보 발효…충남 남부 중심 매우 강한 비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