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문수 의원실·교육통계 제공 |
7일 국회 교육위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실과 교육통계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24년까지 10년간 수도권 대학생 비중이 4.74%p 늘었다. 4년제 대학(대학)과 전문대가 각각 5.25%p, 3.98%p 증가했고, 비수도권은 그만큼 줄었다.
2014년 대학은 37.27%였으나 2024년에는 42.52%로 늘었고, 전문대는 같은 기간 42.56%에서 46.54%로 증가했다. 비수도권 대학은 2014년 62.73%에서 2024년 57.48%로 줄었고, 같은 기간 전문대는 57.44%에서 53.46%로 감소했다.
학생 수 추이에서는 수도권 대학이 1.62% 줄어든 반면 비수도권은 21% 감소해 큰 폭의 차이를 보였다. 전문대도 수도권이 27.37% 감소할 때 비수도권은 38.18%로 더 줄었다.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를 국정과제로 삼았던 윤석열 정부에서도 수도권 쏠림은 이어졌다. 전문대 수도권 비중이 2022년 45.20%에서 2024년 46.54%로 1.34%p 늘었고, 대학은 같은 기간 1.72%p 증가했다.
![]() |
김문수 의원실·교육통계 제공 |
4년제 대학의 경우 대전은 2014년 11만 3583명에서 2024년 10만 2513명으로 1만 1070명 감소했고 세종은 1만 699명에서 1만 6757명으로 6058명이 증가했다. 충남과 충북은 각각 3만 9316명과 1만 9917명이 줄며 감소세를 나타냈다. 대전의 전문대는 2014년 3만 374명에서 2024년 1만 6357명으로 절반가량인 1만 4017명이 줄었고 세종은 5427명에서 4090명으로 1337명 감소했다. 충남과 충북은 각각 1만 636명과 1만 2587명이 줄었다.
고려대와 홍익대 등 캠퍼스 위주의 세종은 대학과 전문대 학생수 비중이 모두 각각 0.41%p, 0.49%p 증가했다. 대전의 경우 대학은 0.25%p 소폭 늘고 전문대는 0.78%p 감소했다. 충남은 대학(-0.80%p)과 전문대(-0.30%p), 충북은 대학(-0.30%p)과 전문대(-0.76%p) 모두 감소했다.
김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수도권에 첨단분야를 증원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상황은 나빠졌다"며 "지방 소멸과 교육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지방대 집중투자와 국가 균형발전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