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7일 대전 중구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에서 열린 현장최고위에서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박정현 대전시당위원장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정 대표는 이날 대전 중구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열린 대전 현장 최고위원회에서 "이재명 정부는 35조 3000억원으로 가장 많은 R&D 예산을 배정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우리나라 과학기술 메카이자 최대승부처인 충청 수부도시 대전에서 전 정부와 차별화 함으로써 헤게모니를 잡기 위한 전략이 깔린 발언으로 풀이된다.
정 대표는 대전은 27개 정부출연연, 산하기관, 첨단기업들이 (과학기술)벨트를 형성하고 있다"며 "R&D 예산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미래 혁신 도시 과학수도 위용을 다시 떨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충청 출신 집권여당 대표인 그는 충청과의 인연도 강조했다.
정 대표는 "충남 금산군에서 태어났고 보문고를 나왔다. 충청이 낳고 대전이 키운 정치인이 정청래"라며 "고향에 와서 최고위원회를 하니 정말 어린 시절부터 추억들이 스쳐지나간다"고 회상하기도 했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충청권 대표 현안을 거론하면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김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권은 대전과 세종 충청을 철저히 무시했다. 카이스트 졸업식 입틀막 사건이 상징적 사례"라며 "원내대표로서 약속한다. 정부와 합심해 과학수도 대전 행정수도 세종 충청의 명예를 되찾겠다"고 약속했다.
![]()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27일 대전시당에서 현장최고위를 열고 지역 현안 등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일각에선 여당 지도부의 충청 방문이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중대 변곡점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당초 지역민 기대에는 못 미쳤다는 평가도 있다.
민주당은 영남과 호남을 각각 찾아선 영호남발전특위 구성을 약속했지만 이날엔 (가칭)충청발전특위 언급은 없었다. 또 세종 행정수도와 대전 과학수도 등과 관련된 언급도 기존 사업을 확인한 원론적 수준에 그친 것으로 행정수도특별법 연내통과 약속 등 진일보 한 점은 없었다는 것이다.
이날 현장최고위에 참석한 대전 지역 의원들은 지도부에 지역 현안 관철을 촉구하면서도 지방선거를 의식한 듯 대야 공세에 주력했다.
박정현 대전시당위원장(대덕)은 "대전 과학수도 비전, 2차 공공기관 이전을 통한 혁신도시 완성 등을 정부와 당 지도부와 협의해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며 "지금 대전시민들은 독단적이고 배타적인 시정에 대한 불안과 분노가 매우 크다"고 쏘아부쳤다.
장철민 의원(동구)도 "이재명 대통령께서 균형발전 중심에 충청이 있다고 얘기하셨다. 충청 발전을 위한 골든타임이 왔다는 생각"이라며 "이 골든타임에 대전 국민의힘 선출직 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제가 보기엔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다"고 꼬집었다.
조승래 의원(유성갑)은 "윤석열 정부에서 공공기관, 대전교도소 이전 등 대전과 충청의 국책사업은 다 멈춰섰다"며 "이재명 정부에서 다시 본궤도에 오를 것이다. 대전 충청이 균형성장의 핵심적인 지역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 대표 등 여당 지도부는 현장최고위에 앞서 대전현충원을 찾아 홍범도 장군 묘역과 연평도, 천안함 장병 희생자 묘역 등을 참배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