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폐기물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지에서 도내로 유입되는 폐기물이 하루 8t 트럭 2250대분을 넘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2~3년 후에는 과포화 현상이 불가피하고, 환경파괴는 물론 도민의 생존권을 위협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충북도의회 윤홍창(새누리·제천1) 교육위원장은 15일 제346회 임시회 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수도권이나 타 지역에서 배출돼 도내로 유입되는 폐기물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하루 1만3000t을 넘는다”며 “2~3년 후에는 도내에서 수용할 수 없는 '과포화' 현상이 우려되는 만큼 도 차원의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도내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역시 하루 4955t에 달하고, 이 가운데 소각 및 재활용되는 4242t을 제외한 713t 중 661t이 매립되고, 51.7t은 해역에 배출되는 상황이다.
그나마 도내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은 충분히 수용 가능한 수준이고, 기술 개발에 따라 매립량의 감소가 전망되지만 외지에서 유입되는 폐기물이 문제인 것이다.
현재 도내에는 제천시와 충주시에 3곳의 폐기물 매립장이 설치 문제와 부실한 사후관리 탓에 시민들의 고통으로 이어지는 실정이다.
제천시의 경우 왕암동에 조성된 폐기물 매립장이 2006년 빗물을 막는 에어돔이 붕괴돼 빗물 2만여t이 유입되면서 침출수가 발생, 인근 산업단지 주변에 심각한 악취와 환경오염을 유발시켰다.
2012년에도 에어돔이 다시 붕괴돼 폐기물 매립장을 운영한 민간업자가 파산, 12만t에 달하는 침출수 처리 문제와 200억원에 달하는 복구비용 책임 소재를 두고 환경부와 제천시간 책임공방이 빚어지기도 했다는 게 윤 위원장의 설명이다.
윤 위원장은 “국가도로망 확충에 따라 접근하기 쉽고 땅값이 비교적 싼 충북이 폐기물 매립장의 적격지로 주목받는 실정”이라며 “수도권 등지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 충북을 위협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도가 폐기물 매립장 관련 문제에 대해 환경청과 해당 지자체의 몫이라는 생각으로 방관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도가 나서 체계적인 대책 마련과 철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청주=이영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