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말은 제주도로, 사람은 지방으로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말은 제주도로, 사람은 지방으로

조훈희 경제부 기자

  • 승인 2025-06-25 13:07
  • 신문게재 2025-06-26 18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증명사진 -조훈희
조훈희 경제부 기자
옛말에 말은 제주로, 사람은 한양으로 보내라는 말이 있다. 시간이 지난 현재, 너무나 많은 사람이 서울에서 산다. 지금의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엔 우리나라 인구 과반이 살며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지방 중 일부는 소멸지역으로 불리며 기형적 구조가 커지고 있다.

이는 결국 서울과 지방의 부동산 시장 양극화 심화로도 이어진다. 서울은 아파트값이 급등하고 있는 반면, 지방은 미분양으로 하락세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어서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등을 해소했지만 집값 차이는 더 벌어지는 분위기다.

서울 아파트값은 20주 연속 상승하며 6년 9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이달 셋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36% 상승했다. 이는 문재인 정부 때인 2018년 9월 둘째 주(0.45% 상승)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여기에 부동산 매수 심리는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를 비롯해 마포·성동 등 일부 지역만 상승했던 아파트값이 서울 전역으로 번지면서 본격적인 상승 국면이 진입했다는 분석도 있다. 게다가 현재처럼 주택 공급 지표가 저조한 상태를 벗어나지 못한다면 금리 인하 추세와 맞물려 집값이 폭등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서울 집값 상승세와는 정반대로 지방은 미분양이 쌓이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최근 발표한 4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 7793세대로 집계됐다. 이 중 지방 미분양 물량이 5만 1888세대로 전체의 76.5%에 달한다. 충청권 미분양은 9165세대에 달했으며, 대전 2105세대, 세종 57세대, 충남 4817세대, 충북 2186세대 등이다.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6422세대로 전월 대비 5.2%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 물량이 2만 6000세대를 넘긴 것은 2013년 8월(2만 6453세대) 이후 처음으로 11년 8개월 만의 최대다.

서울은 새 정부 출범에 따른 기대감으로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지방은 12년 만에 가장 많이 쌓인 미분양 물량이 가격 상승을 짓누르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지방 미분양 해소 대책을 발표했지만,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업계에선 미분양 해소 대책이 빠진 건설사 자금 지원에 불과하다는 이유에서다. 지방 부동산 경제를 살리기 위해선 다주택자 중과세 완화나 양도소득세 감면, 대출 규제 완화 등 대책이 추가로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양극화 해소는 중요하다. 터무니없는 집값에 서울 청년들은 내 집 마련의 꿈을 잃은 채 살아가고 있고, 일자리와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지방엔 청년이 떠난다. 이제 말은 제주도로 보내고 사람은 지방으로 보낼 수 있는 새 정부의 정책 발굴과 지방 시대를 열 미래 전략 마련이 필요할 때다.
조훈희 경제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항우연 노조, 이상철 원장 사퇴 촉구 "무능과 불성실"… 항우연 입장은?
  2. 경부고속도 '상서 하이패스IC' 10월 내 개통된다
  3.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4.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5.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스무 살에 금융기관 취업한 비결은?
  1. 5개월 앞둔 통합돌봄, 새틀짜기 논의 활발 "기관 협의체 만들고 직역 협력모델을"
  2. 명실상부 중부권 최대 캠핑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 활짝
  3. [홍석환의 3분 경영] 올바른 질문이 먼저
  4.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5. [기고]안전한 대전시민의 밥상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둔산여고 조리원 파업 재개… 수능 한달앞 학생 피해 불가피

둔산여고 조리원 파업 재개… 수능 한달앞 학생 피해 불가피

1학기 준법투쟁 시작 후 석식(저녁)이 중단된 대전둔산여고 조리원들이 14일부터 급식 파업에 돌입한다. 수능을 30일 앞둔 가운데 노사 양측의 갈등이 극으로 치달으며 학생 피해가 불가피하게 됐다. 13일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 대전지부·대전교육청에 따르면 다음날인 14일부터 대전둔산여고 조리원 9명 중 7명이 급식(중식) 파업에 나선다. 기한은 정해져 있지 않다. 둔산여고 파업에 연대해 노조 간부 등이 속한 4~5개 학교서도 파업에 동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비노조는 1학기 중단된 석식이 재개되지 않는 데 대해 문제를 제기..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매년 큰 인기를 받은 대전 빵축제가 올해 몸집을 더 키워 찾아온다. 13일 대전관광공사에 따르면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2일간 대전 동구 소제동 카페거리 및 대동천 일원에서 대전의 102개 빵집이 참여하는 가운데 '2025 대전 빵축제'를 개최한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2025 대전 빵축제'는 대전관광공사가 주최·주관하고 대전시, 동구청, 대한제과협회대전광역시지회, 성심당이 후원하며, 공식행사, 빵집 컬렉션, 마켓&체험 프로그램, 축하공연, 구매이벤트, 부대프로그램 등 다채롭게 펼쳐진다. 주요행사로 ▲개막식 ▲10m 대형롤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

  •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