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 의원은 이날 스마트팜 사업의 기간 연장, 사업 규모 축소, 시설비 증액 등 거듭 변경되고 있는 상황을 지적하며"중장기 종합계획, 타당성 검토, 사전 준비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의문이 든다"고 했다.
그러면서 홍 의원은 스마트팜의 성공은 실제 운영 주체인 농민, 특히 청년 농업인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여기에 다른 지역에서 청년 농업인들이 투자금 부담 등으로 운영을 중도 포기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홍 의원은 "청년 농업인이 자립할 수 있는 구조와 실질적 지원 및 예산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스마트팜이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철저한 사후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다른 지역의 운영 사례를 분석해 부작용은 줄이면서 도입 효과 극대화를 위한 역할을 주문했다. 증평=박용훈 기자 jd36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