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5일 '충주 LNG발전소 반대 범시민 대책위원회'가 조길형 시장 집무실을 항의 방문한 가운데 청사 직원들과 대치하고 있다. |
내년 충북도지사 출마를 선언한 조 시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자치단체장이 정치 현안만 말하는 건 옳지 않다"며 행정 중심 운영을 강조했지만, 서충주 LNG발전소 건립 논란을 계기로 시민과의 단절 행정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15일 충주 드림파크산업단지 내 LNG발전소 건립에 반대하는 '충주 LNG발전소 반대 범시민 대책위원회'는 충주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업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충주시가 2023년 7월 동서발전과 사업 협약을 체결한 뒤 2년 가까이 충주시의회와 시민에게 아무런 설명도 하지 않았다"며 밀실행정과 소통 부재를 강하게 성토했다.
대책위는 기자회견 직후 조 시장과의 면담을 위해 시장실을 찾았지만, 직원과 경찰에 의해 제지됐고, 조 시장이 이동한 시의회 역시 문을 걸어 잠그며 대화는 무산됐다.
이에 주민들은 '소통하겠다고 했는데 도망이라니', '주민 설득할 자신 없으면 당장 철회하라', '불통 행정처리가 안타깝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조 시장의 소통 부재 논란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2020년에는 시가 시의회 승인 없이 옛 수안보 한전연수원을 매입해 시의회를 패싱한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시민단체 고발과 충북도 감사, 시의회의 특별조사위 구성으로까지 이어졌다.
당시 조 시장은 두 번이나 공개 사과했지만, SNS에서는 이를 부하직원의 실수로 돌리는 태도를 보여 진정성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또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는 무술공원에 라이트월드를 유치하며 대대적인 홍보를 펼쳤지만, 공론화 부족과 운영 과정에서의 문제로 인해 시가 먼저 시유지 사용수익허가를 취소했고, 이후 사업은 사실상 중단되며 실패로 귀결됐다.
시를 믿고 투자했던 투자자들은 시장실을 항의 방문해 점거를 시도하며 면담을 요구했지만, 조 시장은 이를 끝내 외면했다.
공교롭게도 이번 LNG발전소 사태와 마찬가지로 이 사건 역시 2022년 지방선거 약 1년 전인 2021년 7월 발생해 선거를 앞두고 반복되는 주민과의 충돌이라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정치적 부담을 피하기 위한 전략인지 모르겠지만, 주민 의견을 외면하고 공론화를 생략한 행정은 반드시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다"고 경고했다.
한편 정치가 아닌 행정을 하겠다던 조길형 충주시장의 말은 결과적으로 주민 없는 행정, 소통 없는 결정이라는 낡은 방식의 다른 표현이 아니냐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