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산지방해양수산청이 추석 연휴와 가을철 성어기를 맞아 관내 여객선 항로 안전 확보에 나섰다. (사진=대산지방해양수산청 제공) |
해수청은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관내 7개 여객선 항로에 설치된 항로표지 48기를 대상으로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등명기, 표체, 전원시설 등 선박 항해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핵심 장비를 집중적으로 살피고, 장애가 발견되면 즉각 복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산해수청은 "귀성객과 어선이 몰리는 시기인 만큼,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 항로표지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9~10월 성어기 기간에만 연평균 350여 건의 해양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충남 서해안 지역은 연안어선 밀집도가 높아 사고 발생률이 타 지역보다 12%가량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항로표지의 기능장애는 단순 시설 노후화 문제를 넘어 어선 충돌, 좌초 등 인명사고로 직결될 수 있다"며 정밀한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현재 항로표지 점검·보수는 해수청 예산으로 충당되며, 매년 정부가 약 1,500억 원 규모의 '항로표지 유지관리비'를 전국적으로 배정한다. 그러나 시설 노후화로 교체·보수 수요가 늘면서 예산 부담이 커지고 있다.
대산해수청 관내의 경우 48기 중 30%가 설치된 지 20년을 넘어 교체 필요성이 지적된다. 이에 따라 외부재원 유치나 지자체와의 공동 관리 체계가 정책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여객선 항로 안전은 해수청의 관리 영역이지만, 실제 이용자인 어민·승객과 밀접한 생활권 단위에서는 지자체의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충남도와 서산시는 항로표지 점검과 병행해 어민 대상 안전 교육, 귀성객 편의시설 확충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해수청 단독 관리 체계에서 벗어나 지자체와의 안전 협업 구조를 제도화해야 한다"며 "특히 성어기 해양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합동 매뉴얼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대산해수청의 이번 특별점검은 단기적 안전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노후 항로표지 교체 계획의 체계화 ▲예산 배분의 합리화 ▲지자체와의 공동 대응 시스템 마련 등이 병행돼야 '안전한 바닷길'이 지속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