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 큐브 가동률 반토막…대전 영상산업 '빨간불'

  • 정치/행정
  • 대전

스튜디오 큐브 가동률 반토막…대전 영상산업 '빨간불'

스튜디오큐브 대관률 2022년 94.6%→2023년 46.7% 급감
제작사 체류비 부담에 수도권 종속 심화… 정부 지원 시급

  • 승인 2025-09-30 16:56
  • 신문게재 2025-10-01 2면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2025062418595318627_l
스튜디오 큐브./사진=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내 핵심 영상 제작 인프라인 '스튜디오 큐브'가 이용률 절반 수준으로 추락하며 사실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지자체가 추진하는 로케이션 촬영 사업이 숙박·식음·유류·보조출연 및 스태프 고용 등에서 직접적인 지출 효과를 내며 지역 경제에 단기적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것이 그나마 위안거리다.

문화예술 인프라와 인력 풀이 수도권에 집중된 구조 속에서 대전의 영상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 지원 확대 등 특단의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30일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스튜디오 큐브의 가동률이 2022년 94.6%에서 지난해 61.4%로 급감했다.



5개 스튜디오로 구성돼 최대 365일 운영 가능한 시설이지만, 총 대관가능일수 대비 실대관일수는 2021년 90.2%, 2022년 94.6%에서 2023년 46.7%, 2024년 61.4%로 급락세를 보였다. 한때 '풀가동' 수준이던 시설이 불과 2년 만에 반토막 난 셈이다.

반대로 대전시가 직접 나선 로케이션 촬영 지원 사업은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2023년에는 31편 촬영으로 35억 원의 경제유발 효과를 거뒀고, 2024년에는 41편으로 늘어나며 56억 원 규모로 확대됐다. 올해는 9월까지 18편 촬영에 불과하지만 벌써 39억 원의 효과를 내며 '가성비 높은 사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단기 효과만 놓고 보면 로케이션 지원이 스튜디오 큐브보다 훨씬 확실한 성과를 내고 있는 셈이다.

관건은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을 위한 환경조성이다.

제작사 입장에서는 수도권 스튜디오보다 스튜디오 큐브 대관료가 비교적 비싸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평당 일 대관료는 수도권 2545원, 지방 지자체 스튜디오 1974원인 반면, 스튜디오 큐브는 2820원으로 가장 높다.

제작사들이 굳이 교통비와 체류비까지 부담하면서 대전을 찾을 이유가 줄어드는 구조다.

여기에 국고보조금마저 지난해 24억 원에서 올해 18억5000만 원으로 줄어들어 운영 재원도 빠듯해졌다. 오는 11월 국내 최대 규모의 버추얼 스튜디오까지 가동되면 전기료 등 관리비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이처럼 영상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려는 대전 입장에서는 단순한 로케이션 사업만으로는 한계가 뚜렷하다. 정부가 세운 스튜디오 큐브조차 운영 부진을 겪고 있어 인프라 확산 자체가 가로막힌 상황이다.

더구나 지역 촬영 시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운송비와 체류비 부담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제작사들은 장기적으로 대전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지역 로케이션은 단기 효과에 그칠 수밖에 없고, 장기적 성장 동력은 계속 수도권으로 흡수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다. 정부 예산마저 줄고 있는 현실에서 지역 영상 인프라 확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이유다.

한국콘텐츠진흥원 관계자는 "대관 감소 이유로 운송비·체류비 부담, 수도권 내 대형 스튜디오 신축 등 경쟁 심화를 꼽을 수 있다"며 "활성화를 위해 제작사 대상 홍보와 2026년도 대관 협의를 진행 중이며, 운영 예산 확보를 위해 정부부처 및 국회와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남교육청,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대응 총력 "이용자 불편 최소화"
  2. [35회 민속대제전] '홈팀' 청양 종합우승, 2년 연속 쾌거… "연승 유지 위해 더 노력할 것"
  3. [35회 민속대제전] 조일교 도 문화체육관광국장 "충남 문화예술 분, 지원아끼지 않을 것"
  4. [35회 민속대제전] 김돈곤 청양군수 "잊혀져 가는 우리의 전통, 민속대제전으로 지속 발전"
  5. [35회 민속대제전] "우리 지역이 최고"… 즐거운 민속놀이로 단결력·애향심 UP
  1. [35회 민속대제전] "민속대제전 왔어요~" 추억 남기기 '찰칵'
  2. [35회 민속대제전] 김기준 청양군의장 "지천 구곡이 맑은 청양서 즐겁고 행복한 시간 갖길"
  3. [35회 민속대제전] 유영돈 중도일보 사장 "갈고닦은 기량 맘껏 발휘"
  4. 글로벌소담, 굿네이버스 레이스_충청권역 걷기대회에 후원물품 전달식
  5. [대입+] 9월모평 과탐 1~2등급 35% 급감… 사탐 쏠림 심화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통합 신호탄 쏴… 성공 키는 초당적 협력

대전충남통합 신호탄 쏴… 성공 키는 초당적 협력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위한 특별법안이 30일 국회에 제출돼 통합의 움직임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지역사회의 역량 결집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1989년 대전직할시 승격으로 갈라선 대전시와 충남도가 수도권 일극 체제를 깨뜨리고 대한민국 제2의 초광역 경제권을 구축을 위해 35년 만에 다시 '통합'에 나서지만, 내년 6월 지방선거 등 정쟁화 우려 등 난항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30일 대전시와 충남도에 따르면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이하 특별법)'이 이날 국회에서 발의됐다. 두 시도는 특별법이 국..

행정수도 신속 완성·공공기관 2차 이전 위해 ‘5극 3특’ 국토 재편
행정수도 신속 완성·공공기관 2차 이전 위해 ‘5극 3특’ 국토 재편

지방시대위원회가 의결한 ‘5극 3특 국가균형성장 추진전략 설계도’는 ‘5극 3특 경제권:성장과 집중’, ‘5극 3특 생활권:연결과 확산’, ‘5극 3특 추진기반:행정·재정 기반구축’이라는 3대 분야 11개 전략과제와 144개 세부과제로 구성했다. ▲경제권=경제권 전략과제는 5극 3특의 권역별 메가시티 미래 전략산업 육성이다. 시범 국가산업단지에 AX(AI Transformation) 스마트제조플랫폼을 구축하고, AI 인력 양성을 위한 AI 특화 계약학과를 신설하며 5극 3특별 연구인력 혁신센터를 확대한다. 중소기업 사업전환자금과 양..

대전 결혼 드레스 비용, 강남보다 비싸네... 결혼 전체 비용도 상위권
대전 결혼 드레스 비용, 강남보다 비싸네... 결혼 전체 비용도 상위권

대전 결혼 서비스 비용에서 드레스 기본 가격이 서울 강남보다 비싼 전국 1위를 기록했다. 결혼 서비스 전체 비용 순위에서도 대전은 지역 중에서도 상위권에 올랐다. 30일 한국소비자원이 8월 18~29일 전국 14개 지역 결혼서비스 업체 504개사를 대상으로 결혼식장과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 비용을 조사한 결과, 대전 드레스 기본 가격(본식 1벌, 촬영 3벌)은 220만 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비쌌다. 이는 물가가 비싼 서울 강남 가격인 202만 원보다 18만 원이나 비싼 수준이며, 전국 평균(155만 원)보다 65만 원이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추석 앞 붐비는 도매시장 추석 앞 붐비는 도매시장

  • 열려라 취업문 열려라 취업문

  • 행정서비스 일부 제한 안내문 붙은 구청 민원실 행정서비스 일부 제한 안내문 붙은 구청 민원실

  • 2025 안전 골든벨 주인공은 나! 2025`Safe 대전 어린이 안전골든벨` 퀴즈왕의 탄생 2025 안전 골든벨 주인공은 나! 2025'Safe 대전 어린이 안전골든벨' 퀴즈왕의 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