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일 대전시청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 이후 문성호 대전충남녹색연합 대표가 대전시의 그린뉴딜 사업에 반대하는 의미의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임효인 기자 |
대전시가 '도심 속 푸른 물길 그린뉴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가운데 지역 환경단체가 사업 전면 수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대전 3대 하천을 중심으로 한 이번 사업이 생태적 관점보다 개발에 치우쳐 있다는 비판에서다.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지난 2일 오전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심 속 푸른 물길 그린뉴딜 프로젝트를 중단하고 계획을 전면 수정하라"며 "하천을 생태적 개념과 생물다양성 관점으로 도심 하천의 생태적 복원과 안전한 하천환경 관리 방안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뉴딜의 한 축인 그린뉴딜은 환경과 사람이 중심이 되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뜻한다. 대전시는 4680억 원을 들여 ▲대전천 복원·도심 활성화 ▲3대 하천 명소화 ▲갑천 스카아이워크 설치 ▲유등천 친수공간 경관 조성 ▲송강 수변공원 조성 ▲도안 누리길 조성 등을 '도심 속 푸른 물길 그린뉴딜 프로젝트'에 담았다.
지역 환경단체들은 이 같은 대전시의 프로젝트가 허울뿐인 그린뉴딜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푸른 물길과 그린뉴딜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생태적 관점의 매우 의미 있는 복원 사업으로 보여진다"면서 "하지만 계획에는 두 단어의 의미가 생태·복원보다는 개발에 더 가깝다"고 판단했다.
![]() |
유진수 금강유역환경회의 사무처장이 대표발언하고 있다. |
대전의 3대 하천인 대전천·유등천·갑천은 앞선 개발로 생태적 역할을 하지 못하는 데다 조금만 가물어도 금방 물이 마르는 건천화가 상당히 진행된 상태다.
이번 기자회견은 이날 오후 사업 착수보고회를 앞두고 사업 반대에 대한 의견을 피력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단체들은 대전시에 문제점을 지적하고 원점 재논의를 요구 했지만 대전시가 거절한 것으로 전해진다.
문성호 대전충남녹색연합 대표는 "대전시가 그린뉴딜 사업의 개념조차 모르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알면서도 시민들의 눈을 가리고 속이고 있는 것인지 따져볼 일"이라며 "그린뉴딜은 어느 사업보다도 취지에 맞게 쓰여야 하고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공론화 과정도 빼놓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