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희]다음 세대로부터 빌려온 것들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김종희]다음 세대로부터 빌려온 것들

[시론]김종희 대전도시철도공사 사장

  • 승인 2009-11-26 10:07
  • 신문게재 2009-05-28 21면
  • 김종희 대전도시철도공사 사장김종희 대전도시철도공사 사장
회사 직원들이 열심히 자전거 페달을 밟는다. 운동 에너지는 전력으로 변환돼 노트북 10대와 전화 3대,프린터 1대를 작동시킬 수 있다.미국의 한 음료회사의 풍경이다.

▲ 김종희 대전도시철도공사 사장
▲ 김종희 대전도시철도공사 사장
캐나다 토론토시는 도심 사무용 빌딩 에너지 사용량을 90%까지 절감했다. 여름철 냉방을 에어컨 대신 토론토에 있는 호수 심층부의 차가운 물과 냉기를 건물 온도조절 수단으로 사용하는 ‘딥 레이크 쿨링(Deep Lake Cooling)’시스템이다.

부산의 한 소각장은 쓰레기 소각여열을 인근 기업체들에 판매한다. 소각여열로 열병합발전설비를 가동해 전력을 생산한 뒤 자체 공정에 사용후 남은 전력을 2개 기업체에 판매해 연간 17억원 절감, 기업체는 기존 LNG 사용보다 연간 10억원의 연료비 절감효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 3월 22일 ‘물의 날’과 4월22일 ‘지구의 날’에 이어 내달 5일은 ‘환경의 날’이다. 우리가 사는 세계가 몸살을 앓고 신음하고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경보음이 울리기 시작한 것은 오래전부터였다.

그러나 사태의 심각성에 대한 오만한 해석과 탐욕으로 대량생산,대량소비,대량폐기의 악순환은 멈출 줄 몰랐고 세계(환경)의 위기는 현실이 되고 있다.

수자원은 이미 세계 80여개국에서 세계인구의 40% 가량이 만성적인 물부족으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UN 국제 인구행동연구소(PAI)는 물 사용 증가 추세와 낭비적 소비행태가 바뀌지 않으면 2025년 83억명의 지구인 가운데 약 25억명이 물부족 문제에 심각하게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자원 부족은 치수 측면의 부적절성도 있겠지만 ‘물 흐르듯이’ 써버리는 낭비때문이며 좋은 물, 나쁜 물을 가리는 호사를 누리기 이전에 생명수 자체의 고갈로 삶이 위협받고 있는 형국이다.

화석연료의 고갈도 실제적이고 과학적으로 수십년전부터 예고된 사실이었지만 널뛰는 기름값의 추이만 관전할 뿐 저연비,대형차,고급차의 안락함에서 근본적으로 탈출하려 하지 않았다.

환경파괴와 자원고갈의 심각성을 말할 때 ‘후회는 아무리 일찍해도 늦은 것’이라는 말만큼 어울리는 글귀가 있을까?

오죽했으면 지난 2007년 유엔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 제 4차보고서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재앙 막기에 인류에게 남은 시간은 이제 겨우 8년뿐이다’고 했다. 그로부터 2년의 시간이 벌써 흘렀음도 기억해야 한다.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대체한다는 의미로 출발했던 대체에너지 개발 분야가 청정에너지(clean energy)로서의 재생 에너지, 신 에너지, 미래 에너지로 영역을 넓히고 있어 다행스러운 일이다.

범지구적,국가적인 지구환경 살리기 정책과 함께 지구인 개개인의 작은 실천도 매우 중요하게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다.지난 3월의 전세계적인 이벤트였던 지구를 위해 전등 하나를 끄자는 ‘어스 아워(Earth Hour·지구의 시간)’도 우리가 일상에서 할 수 있는 좋은 사례이다.

또 하나는 ‘로하스(Lohas, ‘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적 생활패턴에 익숙해 지는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

소비자, 기업, 정부의 공통화두로 부상한 저탄소 라이프스타일인 ‘로하스적 가치관’은 자신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환경 파괴를 최소화한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를 일컫는다.

지난달 세계 각국의 언론들이 일상생활에서 가능한 ‘지구를 구하는 방법들’ 몇 가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오랜 시간 TV를 시청하는 사람들은 전기소모가 적은 제품을 선택하고 교통수단 선택시 부자는 고성능 전기차, 중산층은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구입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라고 권한다.

물론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하면 더할 나위 없이 좋고 대중교통 이용도 현명하다. 물건을 살때는 신용카드,꼭 필요하지 않으면 영수증을 받지 않고 각종 공과금을 인터넷으로 내면 종이를 만들기 위해 베어 내던 엄청난 양의 나무를 살릴 수 있다.

‘하나뿐인 지구(Only, One earth)’,이 세계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자손들한테 빌린 것임을 깊이 성찰할 때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재명 정부 첫 '시·도지사 간담회'...이전 정부와 다를까
  2. 한국여성경제인협 대전지회, 여성기업주간 맞이 디지털 역량 강화 '톡톡'
  3. 대전신세계, 무더위 피해 실내 공간 찾는 이들 위한 백캉스 쿠폰팩 선봬
  4. "서민 보양식은 옛말"... 대전 삼계탕 평균 1만 6400원까지 고공행진
  5. [현장취재]고 오기선(요셉) 신부 35주기 및 돌아가신 모든 사제를 위한 추모미사
  1. "법 사각지대가 만든 비극"…대전 교제폭력 살인에 '방지 법 부재' 수면 위
  2. [인터뷰]김정수 오기선요셉장학회 회장… "‘고아들의 아버지’ 오기선 요셉신부를 기리며"
  3. ‘대전 0시 축제 구경오세요’…대형 꿈돌이 ‘눈길’
  4. 대전교육청 "여름철 물놀이 조심하세요~" 안전 캠페인
  5. 을지대병원, 임금협상 잠정 합의…'진료 공백 없어'

헤드라인 뉴스


[기획 시리즈-①] 대전의 미래, 철도굴기로 열자

[기획 시리즈-①] 대전의 미래, 철도굴기로 열자

대전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본격적인 도시 성장을 시작했고, 이후 호남선 분기점으로서 교통의 중심지가 됐다. 하지만, 현재 한국 철도망은 고속철도의 등장과 함께 수도권 중심으로 고착화되고 있다. 서울역·수서역에서 출발한 열차는 대부분 경부고속선 또는 호남고속선을 따른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모멘텀이 필요하다. 대전도 마찬가지다. 충청권광역철도와 충청급행철도(CTX) 등 신속한 광역교통망 구축과 더불어 국가철도의 지역 연결성 강화로 재설정해 대전 성장 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 새 정부 국정과제 발굴과 5차 국가철도망 계획 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하면서 충청권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부품 수출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충남은 17개 시·도 중 2위의 수출실적을 자랑하고 있어 이번 상호관세로 전반적인 탄력이 기대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7월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한국은 미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8월 1일부터 25..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계룡건설산업(주)가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에서 대전지역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협회는 7월 31일 전국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시공능력평가' 결과 계룡건설산업이 전년 대비 2633억 원(9.7%) 증가한 2조9753억 원으로 5년 연속 2조 원을 돌파했다. 전국 순위도 두 계단 오른 15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주)금성백조주택이 3884억 원으로 2위(전국 75위), 파인건설(주)는 2247억 원으로 3위(전국 114위), 크로스건설(주)는 1112억 원으로 4위(전국 217위), (..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