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복만땅] 손병희, 어려서부터 남다르게 높은 의기와 넓은 도량

  • 문화
  • 오복만땅

[오복만땅] 손병희, 어려서부터 남다르게 높은 의기와 넓은 도량

[원종문의 오복만땅] 96. 손병희

  • 승인 2018-04-27 11:04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손병희
손병희 선생
손병희(孫秉熙)선생은 1861년에 충청북도 청원군 북이면 금암리 에서 태어났다.

처음의 이름은 응구(應九)라고 지어 불렀으나 후에는 규동(奎東)으로 개명을 했다. 일본에서 망명생활을 할 때는 "이상헌"이란 이름의 가명을 쓰기도 했으며, 아호(雅號)는 소소거사(笑笑居士)라고도 하고 도호는 의암(義庵)이란 아호도 사용했는데 의암이란 아호는 최시형 제2대 동학교주가 지어준 것이며 동학의 천도교에서 많은 신도들은 성사(聖師)라고 불렀으며 동학의 초대 최제우(崔濟愚)에 이어서 2대 최시형(崔時亨)의 뒤를 이어 동학의 제 3대 교주가 된다.

어려서부터 남다르게 체구가 건장하고, 높은 의기와 넓은 도량으로 활달한 성품이었으며 열두 살 무렵에는 형이 면장으로 재임하고 있었는데 형이 공금 사십 냥을 관청에 납부하라고 심부름을 시키자 심부름을 가던 길에 어떤 사람이 추위에 길가에 쓰러져있는 것을 보고 업어다 주막에 눕힌 다음 30냥을 주어 음식을 주고 치료도 해주게 하고 관청에는 열 냥만 납부했다고 한다. 면장인 형은 공금을 써버린 까닭을 추궁하며 종아리를 때렸으나 끝내 그러한 사실을 밝히지 않았다고 한다.

당시의 사회제도에 불만을 품고, 마음이 맞고 뜻이 통하는 청년들을 규합하여 우두머리가 되어서 청주일대와 서울까지 활동무대를 넓히며 사회개혁운동을 펼치던 손병희는 1882년에 동학(東學)에 입도하고 도학의 학문을 닦는데 전념하였다.



그의 일상과 사람됨을 눈여겨보던 동학의 제2대 교주 최시형은 손병희의 인격이 비범함을 보고 수제자로 삼아서 성심으로 동학을 전수하게 된다.

1893년에 조정의 부정부패가 심화되어가자 동학의 접주 전봉준이 전라도 정읍에서 농민들과 동학교도를 합하여 봉기하여 관군에 항쟁하였으나 관군과 일본군의 참전으로 실패하게 된다.

1897년에 제2대 교주 최시형으로부터 도통을 이어받아 손병희가 제3대 동학교주가 된 것은 최시형이 관군에 곧 체포되고 생명을 보존하기 어려울 것임을 예견하고 미리 도학의 후일을 인품이나 사람됨이 걸출하였던 수제자 손병희에게 동학의 교주를 이양하였기 때문이다. 최시형이 예견했던 대로 이듬해에 최시형은 관군에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되어 고문을 받다가 최시형은 감옥에서 명을 마치고 순교하였다.

교주가 된 손병희는 동학(東學)이라는 이름을 버리고 천도교(天道敎)로 명칭을 바꾸어 개명을 하고 전국으로 순화면서 동학 천도교의 발전에 열정을 기울였다.

동학혁명은 일본군과 청나라까지 불러드려 동학혁명은 실패하고 동학혁명군을 이끌던 녹두장군 전봉준은 뜻을 같이하던 수하의 배신으로 관군에 붙잡혀 형장의 이슬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사라졌지만 동학 농민운동이 일어 난지 123년이 되는 2018년도 올해 4월에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종로사거리에 녹두장군 전봉준의 동상이 국민들의 성금으로 제작하여 건립되었다.

전봉준
동학 농민군 최고 지도자인 전봉준 장군(1855∼1895) 동상이 순국 123년 만에 종로 네거리에 세워졌다. 사단법인 전봉준장군동상건립위원회는 지난 24일 오전 11시 종로구 서린동 영풍문고 앞에서 전봉준 장군 동상 제막식을 열었다.
전봉준 장군은 고부군수 조병갑이 농민들로부터 과도한 세금을 징수하고 재산을 갈취하는 데 항거해 1894년 3월 농민들을 이끌고 봉기했다. 이후 우금치에서 일본군에게 패배한 전봉준 장군은 서울로 압송돼 전옥서(典獄署)에 수감됐는데, 이곳이 바로 종로 영풍문고 자리다. 전봉준 장군 동상은 국민 성금 2억7천만원을 모아 세워졌으며 원로 조각가 김수현 충북대 명예교수가 만들었다. 화강암으로 만든 좌대 위에 전봉준이 형형한 눈빛을 하고 앉아 있는 모습은 일본영사관에서 조사를 받은 뒤 가마 위에 앉아 압송되던 모습을 찍은 사진을 바탕으로 했다. 사진=연합DB
동학을 천도교로 개명한 손병희는 1909년에 동덕 여학교를 인수하고 다음해에는 다시 보성 전문학교와 보성중학교, 그리고 보성소학교까지 인수받아 운영하며 교육사업과 사회사업에 열성을 다하였으며 지방에도 여러 곳에 학교를 경영하며 국민교육에 힘써왔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천도교의 교세도 날로 높아가니 천도교의 신도가 100만 명을 넘는 성장을 이루었다. 동학의 본뜻인 인내천사상(人乃天思想)을 일깨워 사람이 곧 하늘이니 지금의 세상이 이처럼 혼란한 것은 사람의 마음이 혼란한 때문이라면서 먼저 사람의 마음을 고쳐 안정시켜야 된다고 역설했다. 천도교로 명칭을 바꾼 것은 동경대전(東經大全) 에 도즉천도(道則天道)에서 인용하여 천도교(天道敎)라 하였다.

도(道)는 후천개벽(後天開闢)이고, 후천개벽은 인심개벽(人心開闢)이며 인심개벽은 정신개벽(精神開闢)이라고 설파하였다.

1918년에 권동진, 오세창, 최 린 등과함께 독립운동을 대중화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1919년에는 2월 27일 밤에 독립선언문 2만 1천여 장을 비밀리에 천도교 직영의 보성사 에서 인쇄하기에 이른다.

다음날에 가회동의 손병희 자신의 집에 민족대표 33인이 모여서 서울 파고다 공원 부근의 태화관 에서 독립선언문을 낭독하고 3월 1일에는 독립선언 기념식을 한 뒤에 일본경찰에게 스스로 자진 출두하여 1920년 10월에 징역 3년형을 언도받고 서대문 형무소에서 복역하던 중에 건강이 악화되어 1년 8개월 만에 병보석으로 풀려났으나 상춘원(常春園)에서 치료하다가 회복하지 못하고 62세의 나이로 순국하였다.

세상에 남긴 저서로는 수수명실록(授受明實錄), 도결(道訣), 명리전(命理傳)이 있으며, 천도태원설(天道太元說)과 대종 정의설(大宗正義說), 교(敎)의 신인시대(神人時代)와 무체법경(無體法經), 성심신삼단(性心身三端), 신통고(神通考), 견성해(見性解)를 저술하고, 삼성과(三性科), 삼심관(三心觀), 극락설(極樂說), 성범설(聖凡說), 진심불염(眞心不染), 후경(後經), 십삼관법(十三觀法), 몽중문답가, 무하사, 권도문, 삼전론 등등의 귀한 서적들을 후세에 남겼다.

1962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으며, 충청북도 청주시 북이면 의암로 234(금암리 385-2번지)에 생가가 보존되어 있으며, 서울 종로구 종로로 99(종로 2가 38-1) 탑골공원 안에 손병희 동상이 건립되어 있으며, 묘소는 서울 강북구 우이동 254에 있다.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

원종문-명인철학관-원장
원종문 명인철학원 원장은 한국동양운명철학인협회 이사, 한국작명가협회 작명시험 출제위원장, 국제뇌교육대학원 성명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명리학 전문과정과 경희대 성명학 전문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이름 전문가'로 활동하며 '한국성명학 총론', '명학신서', '이름과 성공' 등의 저서를 발표했습니다.

오복만땅컷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 천안 신방점 등 충청권서 2곳 폐점
  2. 충남콘텐츠진흥원, '나의 친구 윤봉길' 특별상영회 성료
  3. 과학과 놀이의 신세계로 초대합니다! 대전미래과학체험관 '꿈돌이오락실'
  4. '모두가 특별해지는 세종교육' 우즈베키스탄도 반했다
  5. 국내 AI 연구 이끄는 KAIST… 국가 R&D 과제 다수 참여, 핵심 역할 맡아
  1. 천안을 이재관 의원, 2025년 상반기 행안부 특교 8억원 확보 쾌거
  2. "오빠 어딨냐고 일본 형사들이 찾아왔지, 유해가 돌아와 여한이 없어"
  3. [세종 다문화] 7월 14일 북한이탈주민의날을 아시나요?
  4. 소방서에 커피 50잔… 세종 고교생 소비쿠폰 사용법 '감동'
  5. [세종 다문화] '세종 생생정보통 다문화 기자단' 출동!

헤드라인 뉴스


전세사기 업자와 금융기관 뒷거래 혐의…검찰, 새마을금고 임직원 기소

전세사기 업자와 금융기관 뒷거래 혐의…검찰, 새마을금고 임직원 기소

대전 깡통주택과 전세사기 범행의 자금줄이라고 의심 받아온 대전지역 모 새마을금고에서 전·현직 임직원이 무더기로 기소됐다. 낮은 담보와 신용평가 점수임에도 대가를 받고 대출 가능 한도를 넘어서는 대출을 승인해 전세사기 범죄가 시작될 수 있었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대전지검 공판부(부장검사 최정민)는 14일 대전지역 최대 규모의 모 새마을금고 이사장 A(60대)씨를 불구속 기소하고, 전 전무이사 B(50대)씨를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겼다고 밝혔다. 또 B씨의 이부형제이면서 브로커 역할의 건설업자 C(38)씨를 구속기소하고, 자금세탁을..

전국 각지에서 찾아… `직장인 밴드 대전` 16일 대망의 본선
전국 각지에서 찾아… '직장인 밴드 대전' 16일 대망의 본선

중부권 최대 직장인밴드 음악경연 대회인 '2025 직장인 밴드 대전'이 한층 더 화려해진 무대로 찾아온다. 중도일보 주관으로 열리는 직장인 밴드 대전은 대전 대표 축제인 '0시 축제' 기간 마지막날인 16일 대전 중구 우리들공원 특설무대에서 대망의 본선이 진행된다.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리는 직장인 밴드대회는 대전을 넘어 중부권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 각계각층에서 주축으로 활동하고 있는 직장인들의 잠재돼 있던 끼와 열정을 발산, 미래 발전 동력으로 삼고 지역 문화 중흥을 위해 마련됐다. 특히, 첫 대회 때..

신임 교육부장관에 최교진 세종교육감 지명...최종 인선 주목
신임 교육부장관에 최교진 세종교육감 지명...최종 인선 주목

3선의 최교진(72) 세종시교육감이 13일 이진숙 후보 낙마 이후 신임 교육부장관에 지명됐다. 이재명 정부는 그동안 걸어온 이력과 일선 교육 경험,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 충청권 인사 안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 같은 결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 충청권 다른 인사 2명 외 다른 지역 교육 인사도 후보군에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최 교육감으로 무게 중심을 실었다. 최 교육감은 그동안 혁신학교와 고교 상향 평준화, 공교육 강화, 초등학교 학력 시험 폐지, 캠퍼스형 고교 설립, 고교 학점제 선도적 시행 등으로 세종형 교육의 모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통행 방해하는 인도 위 쓰레기 통행 방해하는 인도 위 쓰레기

  •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

  • 국군간호사관학교 67기 생도 ‘나이팅게일 선서’ 국군간호사관학교 67기 생도 ‘나이팅게일 선서’

  •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들 대전서 표심 경쟁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들 대전서 표심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