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기의 행복찾기] 이순(耳順)과 이명(耳鳴)

  • 오피니언
  • 여론광장

[박광기의 행복찾기] 이순(耳順)과 이명(耳鳴)

박광기 대전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승인 2018-05-18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는 것처럼, 공자는 자신의 일생을 돌아보며, "열다섯의 나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이 되어 자립하였다. 마흔이 되어서 미혹되지 않았으며, 오십이 되어서는 하늘의 명을 알았다. 그리고 예순이 되어서는 귀에 거슬리는 말이 없었고, 일흔이 되어 마음 내키는 대로 살아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라고 자신의 삶을 이야기 했습니다.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내가 처음 공자를 알게 된 것은 중학교 1학년 여름방학 때입니다. 당시 여름방학이 시작되고 몇 권의 책을 사서 읽기 시작했습니다. 그 때 읽었던 책들은 지금도 기억이 생생합니다. 이어령 교수님의 수필집 『흙 속에 저 바람 속에』라는 책과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 리처드 바크의 『갈매기 조나단』, 그리고 공자의 『논어』가 중학교 1학년 여름방학 중에 읽었던 책들입니다. 이 책들은 당시 중학생이 되고 나서 처음 맞는 여름방학을 조금은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해 책을 읽기로 하고 우연하게도 택한 책들입니다.



당시 중학생의 어린 나이에 이들 책들에 숨어 있는 깊은 의미를 다 이해하지는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어령 교수님의 수필집을 읽으면서, 일상에서 보이는 모든 것들에 대하여 우리가 잊고 있던 의미와 동시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면서 우리의 정서를 표현할 수 있는, 그리고 우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글을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나이가 들면 꼭 써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잊고 있던 것들과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이지만, 이것들이 삶에 있어서 어떤 의미이며 또한 중요한 것들은 무엇인가를 『어린왕자』의 눈을 통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갈매기 조나단』을 통해 꿈과 희망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꿈을 가져야 하고 희망을 버리지 않아야 하는지도 어렴풋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공자를 읽으면서 내가 공자와 같은 성인이 되고자 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공자와 같이 열다섯 나이에 학문을 하려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당시 나는 열네 살 중학교 1학년 학생이었지만, 만약 내가 학문을 한다면 정치학을 공부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고, 그 때 생각했던 정치학을 지금까지 해 오고 있으니 감히 공자의 뜻을 따르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학을 진학해서 정치학을 공부하면서 유학을 떠날 수 있었고, 어찌되었던 서른 살 이전에 가족으로부터 그리고 경제적으로도 독립을 했으니 이 또한 공자의 말을 실천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마흔이 되었을 때를 생각해 보면, 세상의 온갖 것에 관심을 갖고 세상의 일에 참여도 하고 간섭하기도 했으니, 공자와 같이 세상일에 흔들리지 않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세상일에 온통 흔들렸습니다. 그 결과 공자와 같이 하늘의 뜻을 깨달을 나이인 오십이 되어서도 세상을 원망하기도 하고 하늘의 뜻을 너무나도 자의적으로 해석하기도 하면서 오히려 하늘의 뜻을 어기는 삶을 살아 온 것 같다는 생각이 드니, 결국 공자가 말하는 군자가 되기는 어려울 것만 같습니다.



더구나 이제 오십의 중반을 훌쩍 지나 곧 공자가 말한 '누가 무어라 해도 흥분하거나 분노하지 않는 이순(耳順)'의 나이인 예순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이순은 상상도 할 수 없고 오히려 귀에서 쇳소리가 들리는 이명(耳鳴)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사실 귀에서 쇳소리가 들리기 시작한 것은 수년 전부터입니다. 그러나 그 당시 이명 현상은 그리 심각한 것이 아니어서 며칠 쉬고 나면 사라지곤 했는데, 얼마 전부터 지속적으로 이명이 들리고 조금은 견디기 어려운 상황이 되고 말았습니다. 공자의 말을 억지로 자의적으로 해석하면, 아마도 이명 현상이 심각해서 세상의 어떤 말도 잘 들리지 않고 일관된 쇳소리로 들리니 그 소리를 듣고 흥분할 수도 분노할 수도 없기 때문에 결국은 공자의 말처럼 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도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농담으로 말하듯이 '세상에서 듣고 싶은 말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보고, 하고 싶은 것만 하는 것을 실천하는 삶이 가장 행복한 삶'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세상을 살면서 듣고 싶은 말만을 듣게 된다면 독선과 오만에 빠질 수도 있고,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산다면 환상과 현실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없고, 하고 싶은 것만 하고 산다면 독재와 자만에 빠진 삶이 되고 말 것입니다. 그러니 때로는 정말 듣기 싫은 쓴 소리도 들어야 하고, 보고 싶지 않은 것도 일부러 보아야 하고, 비록 정말로 하고 싶지 않은 싫은 일이라도 기꺼이 해야만 할 때가 있습니다. 바로 이런 쓴 소리와 보고 싶지 않은 것과 하고 싶지 않은 것도 해야 할 때, 그것들을 통해 나의 삶이 더 다양해지고 더 나아가서 행복을 스스로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억지인 것 같지만 얼마 전부터 들리는 쇳소리는 그 동안 잘못 살아온 삶을 반성하라는 경고인 것만 같습니다. 이 경고는 귀에서 들리는 쇳소리에만 집중하지 말고, 그 동안 듣고 싶은 말만 들으려고 했던 과거를 반성하고 평소 들으려고 하지 않았고 듣지 못했던 쓴 소리를 더 많이 들으라는 의미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리고 그런 쓴 소리를 듣는 것에 집중하다보면 귀에서 들리는 쇳소리를 극복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과학적이나 의학적으로 전혀 근거 없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한 마디로 공자의 말에 비유해서 이미 사십의 나이부터 깨어지기 시작한 일생의 과정에서 잘못된 것들을 바로잡으라는 의미의 경고가 아닌가라는 생각입니다.

아무튼 지난주부터 귀에서 들리는 이명 현상 때문에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고 약물치료를 시작했습니다.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나눠준 '이명 주위사항'이라는 인쇄물을 보니, 이명소리에 관심을 갖지 말라는 것과 너무 조용하거나, 너무 시끄러운 곳을 피하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일상의 생활에서 적당한 소음이 있는 곳이 이명 현상을 극복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적당한 소음'이 있는 곳이 바로 우리가 사는 삶의 현장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때로는 좋은 소리도 들리고, 때로는 싫은 소리도 들리고, 또 때로는 듣고 싶지 않은 소리도 들리는 곳, 바로 이곳이 우리가 사는 세상이라는 말입니다.

이제 이런 모든 소리를 들어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의 소리가 공자가 말하는 이순일 수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귀에서 들리는 이명을 극복하는 것이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번 주말 세상의 소리를 좀 더 들으려고 합니다.

행복한 주말되시기를 기원합니다.

대전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광기 올림

박광기교수-2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2.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