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문현 충남대 교수 |
필자는 이날 '대전 전문체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주제발표를 했다. 토론회의 주제를 전문체육으로 삼은 것은 대전시 전문체육의 붕괴가 이미 시작되었고, 그 현실이 매우 심각해 희망을 찾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그래서 토론회를 기회로 자료를 분석하고 방법을 좀 찾아보았다.
대전시의 체육예산은 2016년도에 940억4900만원(대전시 예산총액의 2.91%)이었는데 2017년도에는 801억 3300만원(대전시 예산총액의 2.67%)으로 139억 1600만원 줄어들었다.
2016년 대전시의 체육예산 중 전문체육 예산은 158억6500만원이었지만, 체육시설관리(328억원)와 공공체육시설위탁관리비(232억6500만원)에 560억6500만원(59.6%)이 쓰였다. 전국에서 체육시설이 가장 열악한 대전시가 서울, 대구에 이어 3번째로 많은 체육시설 관리비를 쓰고 있다.
인천, 충남, 경남, 경북은 공공체육시설 위탁비가 0원이며, 전남(6억5000만원), 세종(5억원), 제주(3억3700만원), 충북(1억7900만원), 전북(2억4500만원)이 전부다.
나머지 11개 시·도의 생활·전문체육시설 관리비도 대전시의 절반 수준(300억 미만)도 안됐다. 정말 잘못됐다. 시의원들이 이점을 꼭 살펴주기 바란다.
대전시를 제외한 대전 5개구의 2017년도 전체 체육예산은 174억 1900만원이며, 유성구가 72억 4400만원(자치 예산의 1.79%)로 가장 많았고, 서구가 51억 3900만원( 0.92%), 대덕구는 21억 6600만원(0.71%), 중구는 17억 9700만원(0.47%), 동구가 10억 7300만원(0.31%)으로 가장 적었다. 유성구와 동구의 차이는 무려 60억 이상 차이가 났다.
그런데 이 예산 중 전문체육 예산만 살펴보면 정말 이상한 결과가 나온다.
유성구 1억 488만원, 중구 1500만원, 서구 700만원, 동구 300만원, 대덕구 0원으로 174억 1900만원 중 단돈 1억 7300만원(1.0%)만이 대전시 5개 구의 전문체육 총예산으로 확인된 것이다.
할 얘기가 많지만 지면 관계상 생략하고 결론을 얘기하면 이렇다.
대전시 전문체육의 문제는 전국 대비 많지도 않은 체육시설 관리에 대전시 체육예산의 60%가 사용되고 있고, 이 돈은 전국 3위에 해당 되는 수준으로 매우 방만한 운영이 예상되며, 5개 구의 체육예산은 타 시·도에 비해 비교조차 안 될 정도로 매우 낮다는 데 있다. 전체 5개 구 체육예산의 1%만이 전문체육에 사용되고 있으며(생활체육에는 20.4%), 실업팀을 전혀 운영하지 않고 있다.
대학과 실업팀이 없어 선수들의 미래가 불투명하고, 고등부까지 어렵게 성장한 우수 선수가 타 시 도로 진출해 대전시의 상대 팀으로 출전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들이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현장의 지도자들은 울분을 토하고 있다.
초등, 중등, 고등, 대학과 실업팀이 연계 육성돼야 하나 학령인구 감소와 각종 평가와 재정상황에 묶인 대학이 맥을 못 추는 가운데 철저히 전문체육을 외면하고 있는 5개구의 행태로 대전 전문체육의 맥이 끊어지고 있다.
모처럼 대전시가 한화이글스 야구장 유치전으로 체육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구 체육회 사무국의 역할이 생활체육만 하게 돼있지 않음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이제는 구청장들이 잘못된 자치단체의 체육 행정을 바로 잡고 전문체육 육성에 힘을 써 주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