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외면한다고 상처가 잊혀질까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외면한다고 상처가 잊혀질까

원영미 편집부 차장

  • 승인 2019-12-15 21:54
  • 신문게재 2019-10-24 22면
  • 원영미 기자원영미 기자
원영미
원영미 편집부 차장
아이들을 모두 재우고 난 주말 밤, 꿀 같은 시간. 평일엔 즐겨보지도 않던 TV 드라마가 주말이면 왜 그리도 재미 지는지…. 그날도 드라마에 시선을 집중하며 보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즐겁던 기분이 사라지고 불편함에 눈살이 찌푸려졌다. 중간광고 탓이다. 단순히 드라마 중간에 광고가 나와서가 아니다.

최근 '위안부 피해자 조롱 광고'로 노 재팬(일본불매) 운동에 다시 불을 붙인 '유니클로'가 문제였다. 겨울 대표상품인 발열내의와 재킷 등을 홍보하는 광고가 그 짧은 시간에 2개가 잇따라 나왔다. 듣는 사람도 없는데 '아 뭐야…' 혼잣말을 하며 TV를 껐다.



유니클로 광고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다. 그 광고에서 90대 할머니와 10대 소녀가 대화를 나눈다. "제 나이 때는 어떻게 업었나"라는 소녀의 질문에 "80년도 더 된 일을 기억 하냐고?"라며 대답하는 내용이 자막으로 담겼다. 80년 전이라면 1939년, 바로 일제강점기다. 당시는 조선인에 대한 일제의 위안부 등 강제동원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살아남아 그들의 만행을 똑똑히 증언하고 있다. 아무리 유니클로가, 일본 전체가 나서서 '우리는 모른다', '기억나지 않는다'고 외면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얘기다.

'때린 사람은 기억을 못 해도, 맞은 사람은 기억한다'는 말이 있다. 초등학생이었을 때 잊히지 않는 기억이 있다. 일제 식민지 잔재인 '국민 학교' 명칭이 초등학교로 바뀌기 전이다. 그때는 방학마다 청소당번을 정해 친구와 조를 이뤄 하루는 학교에 나가야 했다. 2학년 겨울방학이었는데 학교에 갔더니 수도가 꽁꽁 얼어 물걸레를 빨 수가 없었다. 학교에 나와 계시던 한 선생님은 밖으로 조금만 가면 물가가 있으니 가서 걸레를 빨아다 청소를 하라고 하셨다. 얼음장 같은 물이 어찌나 차갑던지, 9살 겨울의 기억이 30년이 넘은 지금도 지워지지 않는다.



이렇게 별것 아닌 일도 누구의 가슴엔 힘든 기억으로 남아있는데, 꽃다운 10대를 철저히 짓밟힌 위안부 할머니들의 아픔을 기억나지 않는다는 한마디로 치부할 수 있는 것인지 묻고 싶다. 결국 유니클로는 논란이 된 광고를 내렸지만, 우리의 분노는 더 끌어 오르고 있다.

위안부 피해 생존자인 이옥선 할머니는 그들의 '20년 역사'를 다룬 영화 '에움길' 상영회에서 당시의 끔찍했던 경험을 생생하게 전했다. "일본군에 맞아 귀도 들리지 않고 이도 다 빠졌다. 일본은 지금 한국사람 강제로 끌고 간 일이 없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우리가 다 죽기를 기다리고 있다. 다 죽어도 위안부 문제는 해명해야 한다. 할머니들이 다 죽기만 기다리지 말고 일본 정부의 공식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오는 30일은 강제동원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기업의 법적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한 대법원의 판결이 나온 지 1년이 되는 날이다. 외면한다고 모른척한다고 해서 이미 저질러진 역사가 없었던 일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본 정부의 진정성 있는 반성과 사과, 그에 따른 배상이 이뤄지길 기대한다.
원영미 편집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3.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4.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5.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1. 순천향대, 취-창업박람회 개최
  2. 아산시보건소, 보건사업 우수사례 질병관리청장상 수상
  3. (주)서연이화, 취약계층에 이불 후원
  4.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5.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헤드라인 뉴스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최소분담률, 재정여건 따라 차등해야"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최소분담률, 재정여건 따라 차등해야"

국가 예산을 지원하는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발행 시 자치단체가 부담하는 ‘지방비 최소 분담률’은 재정 여건에 따라 차등해야 한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또 이미 보편화 됐지만, 운영자금이나 이자 수입 등 자치단체의 자금 관리가 여전히 미흡하다는 문제점도 제기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해 11월 14일 공개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및 관리체계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고 있는 자치단체는 모두 190곳(광역 17곳 중 11곳, 기초 226곳 중 179곳)으로 집계됐다. 상품권 발행액은..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교도소 이전사업이 8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대전시의 명확한 추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교도소 과밀화와 시설 노후 문제는 이미 한계를 넘었지만, 이전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놓이며 후적지 개발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열린 대전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대전교도소는 수용률이 142.9%에 달해 전국 평균(122.1%)을 크게 웃돌고, 노후 시설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까지 받..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