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안전위원회는 최근 조사 결과, 세슘137 등 방사성 물질이 유출된 시설 내 바닥 배수탱크가 인허가를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탱크는 외부 배수구와 연결된 상태로 지난 1990년 8월부터 매년 4~11월 사이 운영됐다. 하지만 연구원 직원을 비롯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등 규제기관은 시설 자체를 알지도 못했으며, 방사성 물질은 인근 하천으로 흘러들 수밖에 없었다.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입을 다물 수 없을 만큼 놀랍고 충격적이다. 원자력연구원은 지난 2017년 방사성폐기물 불법 폐기 사건 때도 '3대 제로 안전대책'이라는 안전종합대책을 내놓았지만, 공염불이 되고 말았다. 이번 사건의 근본 원인으로 원자력연구원의 관리체계·설계기반 형상관리 미흡, 수동식 운영체계, 안전의식 결여 등이 나왔지만, 시민들의 공분을 해소시키기에는 충분치가 않다.
앞으로 100개가량의 원자력·방사선 이용 시설의 인허가 사항 및 시공도면과 현재 시설 상태 간 차이에 대한 전면조사가 이뤄진다고 한다. "모든 역량을 모아 예방 조치를 취하고 조속히 그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라는 연구원의 고개 숙인 다짐이 또 다시 허언에 그치지 않아야 한다. 조사 참여자에 대한 범위를 연구원 관계자들에게만 맡겨서는 시민들의 신뢰를 얻기가 어렵다. 대전시와 유성구가 전문적인 영역이라는 족쇄에서 벗어나, 실질적이고 투명한 조사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 있게 들린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