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세종여성가족정책포럼(공동대표 주혜진, 최해경, 이영세)이 2일 오전 10시 대전시 NGO 지원센터 대교육장에서 제1회 정기포럼을 개최한 자리에서 던진 화두다.
![]() |
박재묵 원장 |
![]() |
주혜진 공동대표 |
주혜진 대전여성가족정책센터장(대전세종여성가족정책포럼 공동대표)의 개회 선언을 시작으로 성 주류화와 노동, 복지, 돌봄,청년, 인권, 안전, 여성대표성, 공동체 등 분야별 주제에 따른 자유토론에 이어 정책 과제가 도출됐다. 테이블 별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에 의해 토론이 진행되고 현황 파악과 문제 도출에 이어 도출된 문제 정리와 우선 순위가 결정됐다. 토론 내용 정리 후엔 각 분야별로 제안된 의제 발표와 지정 토론자들의 토론이 이어졌다.이날 라운드 테이블 컨퍼런스에서는 #노동,#돌봄,#복지,#공동체, #여성 대표성, #인권·안전,#청년,#성 주류화 등을 소재로 한 담론이 펼쳐졌다.
주혜진 대전여성가족정책센터장과 최해경 충남대 교수, 이영세 세종시 양성평등위원회 부위원장 등 3인의 공동대표와 36인의 회원으로 구성된 대전세종여성가족정책포럼은 이번 정기포럼을 통해 대전과 세종지역의 여성가족정책을 점검하고 현장성이 강화된 정책을 발굴하기로 했다.
각 주제별로 발굴한 의제는 대전여성가족정책센터에서 정기 발행하는 BRIEF에 게재하고 차후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 |
최해경 공동대표 |
여성가족부가 밝힌 2018~2022 제2차 양성평등정책 기본 계획의 비전은 ‘여성과 남성이 만드는 평등하고 지속가능한 민주사회’이고 목표는 ‘성숙한 남녀평등 의식 함양’,‘여성의 고용과 사회참여 평등’,‘일과 생활의 균형’,‘여성 안전과 건강 증진’이다. 대과제는 6개로 남녀평등 의식과 문화의 확산, 평등하게 일할 권리와 기회의 보장, 여성 대표성 제고 및 참여 활성화, 일·생활 균형 사회기반 조성, 여성폭력 근절과 여성 건강 증진, 양성평등정책 추진체계 강화 등이다.
![]() |
이영세 공동대표 |
대전시의 제2차 양성평등정책 중과제는 학교에서의 양성평등 교육 강화, 생활 속 성평등 문화 확산, 양성평등 시민교육의 실효성 제고, 고용 기회의 평등성 제고, 노동시장 내 여성의 지위 개선, 여성의 경력 유지와 개발 지원, 정치·공공분야 여성 대표성 제고, 돌봄의 사회적 책임 강화, 근로자의 모·부성권 보장,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확산, 여성 폭력 근절 정책 추진 기반 강화, 다양한 여성 폭력 대응력 제고,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 지원 강화, 성인지적 건강 증진 기반 강화, 성주류화 정책 추진 기반 정비, 성인지적 정책 역량 강화, 시민사회와의 협력체계 구축 및 강화 등이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