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대입개편 공론화 원점으로…교육현장 혼란

  • 사회/교육
  • 교육/시험

2022 대입개편 공론화 원점으로…교육현장 혼란

입시전문가 수능 정시확대 전망
고교학점제, 혁신학교 등 영향 불가피… 내신 성적 위주 과목 선택 가능성 커

  • 승인 2018-08-05 11:09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AKR20180804038400004_01_i
중 3학생들이 치를 2022학년도 대입개편안이 3개월의 공론화 과정을 거쳤지만 '결론 없음'으로 마무리 짓게 돼 교육현장의 공분을 사고 있다.

국가교육회의 측은 "대입개편 특위가 공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부 권고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7일 교육부에 넘길 대입제도 개편 권고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3일 2022학년도 대입 입시 개편안을 논의한 국가교육회의 공론화위는 시민참여단 49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론 조사 결과 수능 위주 정시 전형을 45% 이상으로 확대하자는 1안과 수능 전 과목을 절대평가하자는 2안이 각각 선호도 1위(52.5%)·2위(48.1%)를 보였다고 밝혔다. 1, 2안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장 2022학년도 중3 학생들의 대입 개편안 결론은 나오지 않았지만 정시 확대가 예상돼 추후 수능 확대를 둘러싼 후폭풍도 예고되고 있다.



일선 학교에서는 혼란만 가중시켰다는 지적과 함께 '고교학점제'와 '혁신 학교' 등 교육정책의 엇박자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2022학년도 대입개편안이 현재와 같이 수능 상대평가를 유지하고 수능 비중을 확대할 경우 학생들은 내신 성적을 잘 받기 위한 과목으로 쏠릴 것으로 보여 진로와 적성을 따져 과목을 선택하는 고교학점제 제도 시행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이재하 전국진로진학상담교사협의회 수석대표 "입시 경쟁 중심에서 벗어나 적성과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권 확대에 초점을 둔 고교학점제는 사실상 무력화될 공산이 크다"며 "이번 공론화 결과 대입 확대 쪽으로 가닥이 잡히는 만큼 수능을 대비하기 위한 과목으로 몰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전의 한 일반고 교사도 "그동안 정시 중심이었던 교육과정을 2015 개정교육과정에 맞게 학생부종합전형 위주로 맞추려고 노력해왔다"며 "수능 전형이 대세가 된다면 교육과정 개편 편제 때 또 다른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3 학생들과 학부모들 역시 혼란스럽다는 입장이다.

수능 중심이 될 경우 특목고 학생, 사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중3 학부모 정모(47)씨는 "1안이 근소한 차이로 가장 앞섰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수능 절대평가를 도입한다고 해서 조만간 입시에 또 변화가 있을까 봐 걱정"이라며 "아직도 확실한 게 없어 너무 답답하다"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글로컬대학 30 본지정 발표 임박…충청권 대학 운명은?
  2. 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증차에도 시민불편 여전
  3. 영유아 육아 돕는 친족에 월 30만원… 충남도, 내달부터 가족돌봄 지원사업 시행
  4.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5. '교육자료'된 AI디지털교과서, 앞으로 갈 길은? 대전미래교육연구회 토론회
  1. 닥치는 대로 '무전취식' 50대 법원서 징역형 선고
  2. 대전교육청 "제동장치 없는 픽시 자전거 타지 마세요"… 경찰 단속도
  3. 대전보훈청, 포토이즘과 독립·국가유공자·후손 지원 기부금 전달
  4. "통합돌봄을 위한 대전시 일차보건의료 이대로 좋은가?" 포럼 개최
  5. 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추석 명절 맞아 지역사회 나눔 활동 전개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젊은 도시로 부상…세종 출산율 1위, 대전 혼인율 1위

충청권, 젊은 도시로 부상…세종 출산율 1위, 대전 혼인율 1위

충청권이 젊은 세대가 살고 싶은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세종은 전국 최고 수준의 출산율을, 대전은 가장 높은 혼인율을 각각 기록하며 '젊은 도시'의 위상을 확고히 한 것이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5년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세종시의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이 7.2명으로 7.2명으로 전국 평균(5.0명)을 훌쩍 넘어섰다. 2위인 경기도(5.6명)와도 격차가 크다. 출생아 수는 24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증가했다. 전국적으로도 올해 들어 출산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1~7월 누계 출생아 수는 14..

`청년 도시` 도약, 대전시 2030 인구 증가… 혼인.출산도 ↑
'청년 도시' 도약, 대전시 2030 인구 증가… 혼인.출산도 ↑

대전 인구 증가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2030 젊은 층 유입이 늘어나고, 결혼과 출산율 역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세종시 출범으로 2013년 이후 이어진 인구감소세가 끊어지고, 청년이 찾는 도시가 됐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대전시 인구는 144만1596명으로, 지난해 12월(143만9157명)보다 2439명 늘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대전으로 전입한 인구는 5만8226명, 같은 기간 전출한 인구는 5만4411명으로 총 순유입 인구는 3815명으로 집계됐다. 인구 순유입은 최근 넉 달 동안 이..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파업과 치료 중단 사태를 빚은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해 국가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과 대전시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와 공공재활 의료 개선과제 국회토론회’에서다.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대전 국회의원 7명과 충남의 이재관 의원(천안시을), 국힘 김예지 의원(비례),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비례),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비례)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토론회에서는 연간 92억원을 투자하고도 68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점을 강조하며 국가가 운영비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