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도서관 평가 지표, 학생 1인당 자료 구입비 천차만별

  • 사회/교육
  • 교육/시험

대학 도서관 평가 지표, 학생 1인당 자료 구입비 천차만별

4년제 대학 학생 1인당 장서 수 70권 턱걸이
도서관 예산 정체 불구 자료 구입비는 꾸준히 증가
전자도서와 e북 이용률 낮아… 고서 폐기도 난제

  • 승인 2019-02-26 17:52
  • 신문게재 2019-02-27 6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GettyImages-a7380139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대전지역 4년제 대학이 최근 3년간 도서관 장서 늘리기에 몰두한 결과 대학 도서관 진흥법이 명시하는 학생 1인당 70권의 문턱을 아슬아슬하게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 도서관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표가 되는 학생 1인당 자료 구입비는 천차만별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전문가들은 고등교육의 수준을 끌어 올리기 위해서라도 도서관 예산 증액과 질 높은 장서 확보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또 단순히 장서의 수를 평가하기 보다는 대학이 학생 1인당 자료 구입비를 얼마로 책정 했는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대학알리미를 통해 확인한 결과 대전권 4년제 7개 대학의 2018년 기준 1인당 장서 수는 평균 68.2권이다.



충남대가 74.9권으로 가장 많고, 한남대와 목원대가 각각 70.9권, 70.2권이다. 배재대와 대전대는 70.7권과 70.2권, 턱걸이로 70권을 넘겼다. 한밭대와 우송대는 64.9권, 51.2권으로 나타나 평균치에는 못 미쳤다. 그러나 2016년과 비교해보면 7개 대학 평균 1인당 장서 수는 12.3권이 늘어난 결과다.

지역대학 관계자는 “최근 2015년부터 대학들이 도서관 장서 확보에 나섰다. 대부분 70권 수준에 맞췄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단순히 장서 수를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다. 대학 역사에 따라 총 장서 수가 다를 수밖에 없고, 기증도서와 고서의 비중도 각각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학알리미를 통해 확인한 학생 1인당 자료 구입비는 대학마다 격차가 컸다.

충남대가 16만7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우송대가 5만4200원으로 가장 낮았다. 대학도서관 진흥법 기준이 5만4000원이기 때문에 사실상 금액이 적은 우송대도 평균치는 넘은 셈이다.

대학 도서관 관계자는 “자료 구입비에는 책은 물론 전자책과 e북 구입비까지 모두 포함돼 있다. 학생 1인당 기준으로 볼 때 책정 금액이 높을 수록 대학 도서관 장서의 질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열악한 환경이지만, 3년간 자료 구입비는 꾸준히 증가세다. 충남대가 2016년 대비 5만4000원, 한밭대는 4만900원 증액됐다.

한편 오래된 고서와 전자도서가 대학 도서관의 골칫덩이로 전락하고 있었다. 한정된 도서관 규모에 새 책을 받을 자리가 없어서 고서를 처분해야 하지만, 장서 수가 대폭 줄어들 수도 있다는 우려감 때문에 쉽게 처분 결정을 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또 전자북의 경우 비싼 가격대비 이용률이 적어 자료 구입을 꺼리고 있지만, 달라지는 도서 환경을 위해서 구입하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글로컬대학 30 본지정 발표 임박…충청권 대학 운명은?
  2. 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증차에도 시민불편 여전
  3. 영유아 육아 돕는 친족에 월 30만원… 충남도, 내달부터 가족돌봄 지원사업 시행
  4.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5. '교육자료'된 AI디지털교과서, 앞으로 갈 길은? 대전미래교육연구회 토론회
  1. 대전교육청 "제동장치 없는 픽시 자전거 타지 마세요"… 경찰 단속도
  2. 닥치는 대로 '무전취식' 50대 법원서 징역형 선고
  3. "통합돌봄을 위한 대전시 일차보건의료 이대로 좋은가?" 포럼 개최
  4. 대전보훈청, 포토이즘과 독립·국가유공자·후손 지원 기부금 전달
  5. 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추석 명절 맞아 지역사회 나눔 활동 전개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젊은 도시로 부상…세종 출산율 1위, 대전 혼인율 1위

충청권, 젊은 도시로 부상…세종 출산율 1위, 대전 혼인율 1위

충청권이 젊은 세대가 살고 싶은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세종은 전국 최고 수준의 출산율을, 대전은 가장 높은 혼인율을 각각 기록하며 '젊은 도시'의 위상을 확고히 한 것이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5년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세종시의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이 7.2명으로 7.2명으로 전국 평균(5.0명)을 훌쩍 넘어섰다. 2위인 경기도(5.6명)와도 격차가 크다. 출생아 수는 24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증가했다. 전국적으로도 올해 들어 출산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1~7월 누계 출생아 수는 14..

`청년 도시` 도약, 대전시 2030 인구 증가… 혼인.출산도 ↑
'청년 도시' 도약, 대전시 2030 인구 증가… 혼인.출산도 ↑

대전 인구 증가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2030 젊은 층 유입이 늘어나고, 결혼과 출산율 역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세종시 출범으로 2013년 이후 이어진 인구감소세가 끊어지고, 청년이 찾는 도시가 됐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대전시 인구는 144만1596명으로, 지난해 12월(143만9157명)보다 2439명 늘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대전으로 전입한 인구는 5만8226명, 같은 기간 전출한 인구는 5만4411명으로 총 순유입 인구는 3815명으로 집계됐다. 인구 순유입은 최근 넉 달 동안 이..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파업과 치료 중단 사태를 빚은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해 국가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과 대전시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와 공공재활 의료 개선과제 국회토론회’에서다.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대전 국회의원 7명과 충남의 이재관 의원(천안시을), 국힘 김예지 의원(비례),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비례),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비례)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토론회에서는 연간 92억원을 투자하고도 68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점을 강조하며 국가가 운영비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