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대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센터장 조종관 교수 |
▲초기암 수술 후 항암 방사선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
수술 후 항암이나 방사선치료가 필요 없다고 하는 초기암의 경우에도 100% 전이가 안 된다는 보장이 없다. 유방암의 경우 1기암의 5년 내 사망률은 25∼30%가 된다는 보고도 있다.(Overgaard NEJM 1997).
따라서 초기암이라도 방심하지 말고 일단 미세암세포가 몸의 어딘가에 숨어있다고 가정하고, 수술 후 즉시 전이암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전이환경 제거 목적의 암 주위 미세환경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각종 치료 후 현재는 CT, MRI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
수술 항암 방사선 등 서양의학적 치료 후 현재 CT, MRI 등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라고 해도 향후 1∼5년은 미세암세포가 남아있다고 가정하고 전이억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경우 전이억제 치료는 잔존 암세포의 존재를 가정해 이런 암세포들의 자살을 촉진하고 뿌리를 내릴 수 있는 환경을 제거하는 것이다.
▲각종 치료 후 CT MRI에서 보이지는 않으나 혈액검사 상 암수치가 상승한 경우
이런 경우는 CT MRI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몸 어디인가에 미세한 암세포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암세포 주위 성장환경에 따라 전이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전이억제치료를 통해 잔여 암세포의 활동차단을 통한 전이암 발생 가능성을 제거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수술 후 혹은 전 항암 방사선 치료 중인 경우
종양의 크기가 커서 축소 후 수술 목적으로 혹은 수술 후에 항암 혹은 방사선치료 중인 경우의 한방치료는 첫째 항암 방사선 부작용감소, 둘째 종양 축소 시너지 효과, 셋째 삶의 질 향상, 넷째 면역력 향상 등을 통해서 일차적으로는 서양의학적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전이재발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정기검사 중 CT MRI에서 전이암이 발견된 후 현재 항암 혹은 방사선치료 중인 경우
수술 항암 방사선 치료 후 혹은 표적치료 호르몬치료 도중 정기적 검사 과정에서 전이암 발견되어 다시 항암이나 방사선치료를 시작하게 된 경우, 암 주위 미세 환경치료와의 병용은 종양 축소 효과를 상승시키고, 면역력 향상을 통해 전이암 확산을 억제해주는 작용을 한다.
▲각종 서양의학적 치료 실패 후 더 이상 항암치료가 무의미한 전이암 경우
서양의학적 치료를 했음에도 일정 기간 후 전이암이 발견되어 다시 항암 혹은 방사선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치료 효과가 없는 경우, 전이억제치료는 유지요법 목적으로 면역력 향상과 암 성장의 모판이 될 수 있는 미세환경 조정을 통한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암 성장 억제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다.
▲발견 당시 이미 진행성 전이암으로 수술 불가 현재 항암 혹은 방사선, 표적치료 중인 경우
발견 당시 이미 전이가 된 경우 수술은 무의미해서 할 수 없고 대부분 항암이나 방사선, 표적치료 등을 하게 된다. 이런 경우 전이억제치료는 종양 축소 시너지 효과를 내는데 1차 목표를 두면서, 면역력 향상과 미세환경 개선을 통해 성장 전이를 억제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다.
▲노인성 암 혹은 체력저하로 항암 방사선치료를 받을 수 없는 경우
노인성 혹은 체력이 약해서 항암 혹은 방사선치료가 의미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이억제치료는 항암이나 방사선치료보다 오히려 우수한 질병통제능력(DCR;Disease Control Rate)을 보임으로, 삶의 질을 높이고, 증상을 개선하며 종양의 현상 유지 및 전이억제 목적에 부합하는 치료라고 볼 수 있다.
환자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통해 암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해 암으로부터의 진정한 자유를 찾기를 바란다.
/대전대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센터장 조종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