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우리말과 글을 아끼고 사랑해야 하는 이유

  • 문화
  • 문예공론

[문예공론] 우리말과 글을 아끼고 사랑해야 하는 이유

손채화/ 중원대학교 한국어강사

  • 승인 2019-10-10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세종
게티 이미지 뱅크
10월 9일은 573돌을 맞는 한글날이다. 세종대왕이 1443년 12월에 문자를 만들고, 그 후 3년만인 1446년 음력 9월에 <훈민정음 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반포하였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지기 전에 우리 조상들은 지금과 비슷한 말을 썼겠지만 그 말을 적을 수 있는 글자가 없었기 때문에 중국의 한자를 빌려서 써야했다.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않아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제 뜻을 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 이를 가엾게 여겨 직접 만드셨다.



훈민정음은 자음 17자와 모음 11자 총 28자로 구성되었다가 세월 속에 쓰임새가 줄어든 4자를 제외하고 현재는 24자만 사용되고 있다. '한글'이란 이름은 1908년 '국어연구학회'를 조직한 주시경 선생을 비롯한 학자들이 처음 부르기 시작했고 '한'은 크다는 뜻을 나타내므로 한글은 곧 '큰 글'이라는 의미이다.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와 자음·모음의 음가(音價) 및 운용법이 담겨져 있는 <훈민정음해례본>은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어 고문서(古文書)로서 가치를 인정받았고 세계의 언론석학들은 우리 한글을 인류 최고의 문자로 손꼽고 있다.

요즘 우리 일상에서 사용하는 말과 글을 살펴보면 무분별한 신조어 사용과 외국어, 은어, 비속어 등이 너무 난무하고 있다. 인터넷이나 누리소통망(SNS)에 난해한 형태의 글자가 나타나고 있고, 아파트의 명칭이나 판매장(販賣帳) 간판은 대부분 외국어로 되어있어 한글로 된 간판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또한 언론이나 방송에서도 마찬가지다. 우리말 사용이 가능한 것도 영어로 사용하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젊은 세대의 언어는 어른들이 알아듣지 못해 언어 소통이 되지 않는다. 그로인해 세대 간 갈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국어 어휘를 보면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나눌 수 있다. 고유어는 순수 우리말로서 사전 등재를 기준으로 보면 전체 어휘 가운데 26%정도에 달한다. 한자어는 한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단어로 59%정도로 제일 많고, 외래어는 원래 외국어였던 것이 국어체계에 동화되어 사회적으로 그 사용이 허용된 단어로서 15%정도를 차지하지만 세계화에 발맞춰 점점 증가 추세에 있다.

시대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나타나는 신조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국제화 추세에 영어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말보다 우선시하는 경향은 경계되어야한다. 무분별한 신조어와 외국어 사용은 다시금 생각해 봐야할 시점이다.

우리 속담에 '남의 논을 거쳐 흐른 물이 내 논의 벼를 길러 수확한다.'라는 말이 있다. 우리의 전통적인 것과 지켜온 것을 잘 가꾸고 그 바탕 위에 새로운 창의성을 가미하여 한층 풍요로운 수확을 거두어야한다.

말과 글은 그 나라 그 민족을 다른 어느 것과 구별하는 핵심적인 기능을 한다. 한국어로 말하고 듣고, 한글로 읽고 써서 서로의 의사를 소통하며 같은 정서를 느끼고 살기에 우리는 한국인이라 자랑스럽게 말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모음과 자음 24자만 알면 세상의 모든 것을 다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우리말, 우리글을 더 사랑하고 아껴야 할 이유이다.

다시 맞는 한글날을 즈음하여 세종대왕의 거룩하신 뜻을 되새겨 위대한 유산인 한글을 바르고 곱게 사용해야 한다.

손채화/ 중원대학교 한국어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3. 세종시 어린이들의 '가족 사랑' 그림...최종 수상자는
  4. 초록우산 박미애 본부장, '시낭송 상금' 100만 원 기부 귀감
  5. 한남대, 2025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1. 충남대, 중국약과대학과 협약…바이오 재료·약학 분야 공동 연구 추진
  2. 건보공단, 미혼 한부모가정 위한 따뜻한 지원 눈길
  3. 세종충남대병원, '당뇨병 예방과 공연' 이벤트..건강한 삶 이끈다
  4. 세종도시교통공사, 저출산·지방소멸 해결 위한 시민 소통 강화
  5. 세종테크노파크, 네트워킹데이 개최...입주기업 성장 돕는다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