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서구 용문동의 한 재건축 아파트에 입주한 주민 A 씨는 최근 집 생각만 하면 잠을 잘 수 없다. 재건축을 맡은 시공사가 약속을 어기고 아파트 소유권을 이전하지 않은 채, 아파트를 담보로 수십억을 대출받았기 때문이다.
분담금 5000만원이면 새로 지은 아파트에서 살 수 있다는 시공사의 말을 너무 믿었던 것일까. A 씨는 자책하고 또 자책한다.
A 씨는 "분명히 시공사가 분담금 5000만원을 내면 새아파트를 주겠다고 약속했는데, 일이 이렇게 될지 몰랐다"라며 "시공사를 너무 믿었던 내가 싫어진다"라고 울먹였다.
다른 입주민들도 마찬가지다.
이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민은 대부분 70~80대 노인들로, 재건축에 대한 내용을 알지 못했다. 그런 상황에서 '신축 아파트'라는 달콤한 말에 시공사를 믿고 집을 내줬다. 하지만 돌아오는 것은 생각지도 않은 추가 분담금과 대출 빚이었다.
80대 주민 B 씨는 "추가 분담금이 발생하는 걸 알았으면 재건축에 동의하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소유권을 넘겨받아도 빚이 수천 만원에 달해 갚을 엄두도 나지 않는다. 그냥 이대로 죽어야 하나 싶다"고 한탄했다.
주민들의 달콤한 꿈이 악몽으로 변한 건 지난 2017년 12월. 세대 수가 부족해 재건축 조합을 설립하지 못해 재건축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던 주민들에게 '5000만원이면 새집에서 살 수 있다’는 시공사의 제안은 거절할 수 없을 만큼 파격적이었다.
주민들은 시공사의 말을 믿고 자신들의 집에 대한 소유권을 이전해줬고, 준공만을 기다렸다.
준공의 기쁨도 잠시, 시공사는 약속하지도 않은 돈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계약서에 없던 추가 분담금 1500만원을 더 내라는 요구였다.
주민들은 받아들이기 어려워 서로 대응방안을 고심하고 있다가 더 충격적인 소식을 들었다. 시공사가 이미 주민들 모르게 아파트를 담보로 대출을 받았다는 것이었다.
주민들은 크게 반발하며 시공사에 어떻게 된 일이냐고 따졌다. 하지만 시공사는 공사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대출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는 답변을 내놨다. 다시 말해, 소유권을 이전받으면 시공사가 받은 대출 빚을 갚아야 하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주민 C 씨는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는지 너무 속이 터진다"라며 "만약 시공사가 폐업하고 도주한다면 거리로 나앉을 수밖에 없어 너무 불안하다. 빨리 이 악몽에서 깨어났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