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 철도노조가 준법투쟁에 들어서면서 열차가 지연 중인데, 파업이 가시화될 경우 철도 이용객 불편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철도노조는 파업을 앞두고 대전역 동광장에서 "정부와 한국철도는 경고 파업 이후에도 협의에 무성의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철도 공공성 강화를 위한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오는 20일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했다.
철도노조는 파업 예고에 앞서 "임금과 특단협 투쟁 승리를 위해 15일부터 안전운행 투쟁을 전개했다"고 말했다.
이미 준법투쟁부터 이용객 피해는 가중되는 분위기다. 한국철도공사에 따르면 16일 오후 3시 기준으로 부산역에서 출발하는 KTX 9대가 20~53분 지연됐고, 서울역·용산역에서 출발하는 무궁화호 열차 10대가 20~69분 지연 출발했다. 철도노조 준법투쟁 첫째날인 지난 15일에도 무궁화호, 새마을호 열차 10여개가 30∼60분가량 지연됐다.
철도노조는 철도공공성 강화로 KTX와 SRT의 통합과 철도노동자 임금 정상화를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는 KTX와 SRT를 통합하고 철도노동자 임금을 정상화하겠다는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 "산업재해와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노동자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자회사 노동자들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파업을 앞두고 노조는 "철도노동자들은 인내심과 진정성을 갖고 마지막 순간까지 교섭과 대화의 끈을 놓지 않겠다"며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끝까지 모든 노력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철도공사와 철도노조는 2019년도 임금교섭을 지난 5월부터 십여 차례 진행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에 대해 철도노조는 지난달 72시간 시한부 파업에 돌입한 바 있다.
이에 손병석 사장은 "그동안 노조와 교섭을 진행했으나 주요 쟁점에서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며 "노동조합과 진정성 있는 대화를 해나가 빠른 시간 내 파업이 종결되도록 온 힘을 쏟겠다"고 말한 바 있다.
협의가 진행되지 못한 상황에서 철도공사의 경우 노조의 준법투쟁을 태업으로 보고 '태업 대비 비상 수송 대책회의'를 열었다. 국민 불편 최소화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공사는 가용 가능한 비상대기 열차와 지원 인력을 총동원해 지연 발생 시 긴급 투입하고, 역 안내 인력을 추가로 투입해 이용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연되는 열차에 대한 환불(취소), 변경 수수료는 면제 조치 중이다.
공사는 "태업으로 인해 이용객에게 불편을 끼치게 된 점을 사과드리며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