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들은 올해 기준으로 매월 수당으로 873만 원, 입법활동비와 특별활동비로 각각 314만 원, 78만 원을 받는다. 수당은 의정활동을 할 수 없어도 의원직만 유지되면 나오고, 특별활동비는 국회가 문을 닫아도 나온다. 말 그대로 놀고먹는 비용이 한 달에 1000만 원 가까이다. 그런데도 지난해 12월 새해 예산안을 다루면서 슬그머니 셀프 인상을 했다. 파행으로 끝난 국회지만, 보수 인상에서만큼은 여러 논란을 잠재우고 구렁이 담 넘어가듯이 통과시켰다.
올해도 국회의원 보수 인상 움직임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민생을 볼모로 여야 정치권이 서로 네 탓 공방을 벌이며, 국회가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하고 있는 데도 밥그릇 챙기는 것은 빼놓을 수 없는 모양이다. 일부 야당의 국회의원 연봉 30% 삭감 법안 발의에 대해서는 모두 들은 체도 않고 시큰둥하다. 사실 우리나라 국회의원의 연간 보수는 세계 으뜸 수준이다. 국민의 심부름꾼을 자처하며 국민소득 기준으로 볼 때 5배 차이는 너무 크다. 그것도 해야 할 일은 하지도 않고서 말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최근 전국 성인 1010명에게 한 설문조사에서 10명 중 4명꼴로 '국회의원 회의일수 10% 이상 불출석 시 페널티로 세비를 삭감해야 한다'는 국민의 바람은 절대 허튼소리가 아니란 사실을 알았으면 한다. 올해도 슬그머니 국회의원 보수 인상에 시동을 걸고 나선다면 국민을 정말 우습게 본다는 뜻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