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 제공 |
대전광역시는 시민이 주도하고 지자체, 공기업-공공기관, 시민사회단체가 힘을 모아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대전을 만드는 '대전사회혁신플랫폼' 사업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대전시는 그동안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코로나라는 국가적 재난사태에 시민·지역공동체가 무엇을 해야 하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 시민들과 함께 의논하고 해법을 찾는데 집중하며, 지난해 추진사업도 연계해 확대한다.
시는 코로나19 이후의 새로운 대전을 만드는 변화된 대응 의제를 직접 발굴하는 '누구나정상회담@랜선파티' 파티원 1000여 명을 오는 15일까지 모집할 예정이다.
대전시는 이를 통해 지역문제 해결의 전 과정에 비대면 방안, 정보기술(IT)을 활용해 온·오프라인으로 의제를 발굴하고 목록을 만든 뒤 정책의제는 대전시에서, 실행의제는 대전사회혁신플랫폼과 매칭해 실행할 계획이다.
또한. 대전 소재의 공기업·공공기관의 고유사업과 사회적가치 활동을 연계해 지역사회 문제 해결의 선순환 생태계도 조성할 계획인데, 2019년도 12개 공공기관을 포함된 민·관·공 28개 단체로 구성된 대전사회혁신플랫폼 추진위원회가 협력 지원한다.
지난해 대전사회혁신플랫폼 추진위원회는 '청소년 기후위기 대응활동', '모두를 위한 여행 만들기(무장애 여행)', '아이들의 놀권리 보장',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지역 독립서점 활성화' 등 시민들이 직접 제안한 10여 개의 지역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공기업 · 공공기관 · 관련단체에서 매칭사업으로 추진했다.
이성규 대전시 공동체지원국장은 "코로나라는 국가적 재난 상황에 맞서서 혁신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재해석하고, 재난 이후 준비를 위한 시민 참여를 더욱 활성화시켜 문제해결 능력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이후의 새로운 대전을 만드는 '누구나정상회담@랜선파티'파티원 모집은 오는 15일까지 대전시민 누구나 온라인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랜선이란 랜=Lan, 선=Cable의 약자로 인터넷 사용을 위해 PC에 꼽는 랜 케이블을 의미한다. 온라인 소셜미디어를 뜻하는 용어로 해석되기도 한다.
한편, 대전이라는 지명은 우리말로 큰 밭이라는 뜻인 '한밭'을 한자로 옮긴 것이다. 대전은 오랫동안 충청남도의 도청이 있던 곳이어서 중부 지방을 대표하는 도시로 성장했다. 특히 1989년에 최첨단 연구 단지로 유명한 대덕과, 온천으로 이름난 유성이 대전에 포함되면서 더욱 큰 도시로 발전했다. 대전은 1993년에 대전 세계 박람회(엑스포)를 개최하면서 한 단계 더 발전했고, 육해공군의 통합 사령부까지 대전 옆의 계룡시로 옮겨 오면서 군 행정과 과학의 중심 도시로 자리를 잡았다. 대전은 우리나라의 6대 광역시 가운데 하나로 인구는 약 146만 명이에요. 앞으로 대전은 행정 도시, 최첨단 과학 연구 도시에서 더 나아가 우리나라 핵심 도시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