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는 21일 대전세종연구원 대회의실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한 실집행률 실적을 높이고 올해 신규 공모사업 선정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한 '도시재생 전략협의회'를 개최했다.사진제공은 대전시 |
대전광역시는 21일 대전세종연구원 대회의실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한 실집행률 실적을 높이고 올해 신규 공모사업 선정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한 '도시재생 전략협의회'를 열었다.
'도시재생 전략협의회'는 대전시, 자치구, 도시공사 및 현장지원센터장 등이 참여하는 도시재생 거버넌스 조직으로 민·관 소통 및 협력 등을 강화하기 위해 분기별로 회의를 열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류택열 시 도시재생주택본부장 및 자치구 뉴딜사업 담당국장(5명)과 현장 사업 총괄코디네이터(5명), 대전도시공사 건설사업처장 등 모두 14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침체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올 상반기까지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예산 실집행률 실적을 최대한 높여 추진키로 의견을 모았고, 올해 신규 공모사업 신청 및 선정, 내년도 국비 확보 방안 등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시는 정부 출범 후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에서 총 9곳이 선정돼 사업비 1539억 원(국비 770억 원, 지방비 769억 원)을 확보했으며, 속도감 있게 주민 체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초에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2020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 일정에 따라 대전시, 자치구별 공모 신청 준비에 한창이며, 국비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공모 선정에 주력하고 쇠퇴지역의 도시재생 거점 조성을 위해 사업을 확대 전개할 방침이다.
류택열 시 도시재생주택본부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침체된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기 위해 도시재생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했다"며 "올해 신규 공모사업에 최대한 많이 선정돼 국비 확보는 물론 주민이 체감하는 도시재생 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뉴딜사업 이외에도 소규모 재생사업,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 지원사업 공모 신청 등 다양한 정부지원 사업을 통해 도시재생 효과를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한편, 대전시는 도시재생을 통한 균형발전에 적극 나서고 있다. 도시재생은 산업구조의 변화, 즉 기계적 대량생산 위주의 산업에서 신산업으로 변화되는 산업구조 및 신도시 위주의 도시 확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기존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고 창출함으로써, 쇠퇴한 도시를 경제적·사회적·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사업이다. 도시재생에는 ▲도로·공원 등 도시기반 정비 ▲건축물 리모델링 ▲첨단산업단지 조성 ▲역사적 경관 보전·복원 등 다양한 방법이 이에 포함된다. 도시재생 정책을 가장 먼저 도입한 곳은 영국으로, 수도 런던의 도클랜드 지역에서 벌어진 대규모 사업은 도시재생의 가장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