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양수산부는 '제5차 해양환경종합계획'에 국민들의 목소리를 담기 위해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해양환경정보포털 누리집(www.meis.go.kr)을 통해 국민이 바라는 해양환경에 대한 여론을 수렴한다.
제5차 해양환경종합계획'은 앞으로 10년간(2021~2030) 우리나라 해양환경 정책의 밑그림이 될 해양환경 분야의 최상위 계획이다.
이 계획은 향후 10년간 해양환경 관련 여건 및 전망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해양환경 정책 비전과 목표, 중장기 추진 방향 등을 담아 올해 12월경 발표될 예정이다.
해수부는 해양환경이 국민의 일상과 밀접히 연관돼 있는 점을 감안해 이번 종합계획을 국민과 함께 만들어 나가기 위해, 국민이 바라는 해양환경의 모습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들을 충실히 반영키로 했다.
해양환경에 관심이 있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해양환경정보포털 누리집(www.meis.go.kr)을 통해 해양환경 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각종 해양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다.
해수부는 이번 대국민 온라인 의견수렴에 참여한 국민들에게는 하반기에 개최될 '해양환경종합계획안 공청회' 초청장을 발송해 현장에서도 직접 의견을 제시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50명에게는 3만 원 상당의 온누리 상품권도 증정한다.
해수부는 1948년 7월에 설치된 교통부 해운국과 상공부 수산국을 모태로 한다. 1955년 해운국과 수산국을 통합하여 해무청이 신설되었다가 1961년에 폐지된 뒤 농림부 수산국과 교통부 해운국으로 관련 업무가 이관되었다. 1966년 농림부 수산국이 수산청으로 독립하였고, 1976년 교통부 해운국은 건설부 항만시설국과 통합하여 항만청이 된 뒤 이듬해 해운항만청으로 개편되었다.
1996년 8월 8일, 21세기 해양경쟁 시대를 맞이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해양행정체제를 구축하고 해양 잠재력을 적극 개발하기 위하여 수산청과 해운항만청 등 13개 부·처·청에 분산된 해양 관련 업무를 통합한 해양수산부가 신설되었다. 2008년 폐지된 뒤 그 기능이 국토해양부와 농림식품수산부로 이관되었다가 2013년 정부조직개편에 따라 다시 설치되었다.
주요 업무는 해양자원 개발 및 해양과학기술 진흥, 해운업 육성 및 항만 건설과 운영, 해양환경 보전 및 연안 관리, 수산자원 관리와 수산업 진흥 및 어촌 개발, 선박·선원의 관리 및 해양안전심판 등이다.
세종=오주영 기자 ojy83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