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세종청사 전경. 3단계 6개 공구로 나뉘어 건설되고 최근 신청사까지 착공된 가운데 지역기업의 건설 참여비율은 6.5%에 그친다. |
2008년부터 공사를 시작해 건설계약액 기준 1조1000억 원이 투입된 정부세종청사 조성사업에 향토기업의 참여비율은 6.5%에 그치는 등 성장 사다리에서 소외됐다는 지적이다.
행정안전부와 과기정통부의 세종 이전을 계기로 지난 3일 공사를 시작한 세종신청사 건립사업은 한라와 정인종합건설이 시공사로 선정되고 소방공사에 현대건설, 전기분야에 (주)삼호, 통신 금강산업 등 서울과 경기, 경남에 본사를 둔 업체로 구성됐다.
이로써 조달청이 전자입찰을 통해 계약한 총사업비 3875억 원 규모의 정부세종신청사 건설공사에서 향토기업은 2~3차 하청에서도 소외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역대 최대규모의 정부청사 건립사업으로 기록된 정부세종청사에서 지역 건설기업의 참여비율은 6.5%에 그치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발행한 '정부세종청사 건립백서'에 따르면 어진동 세종청사는 2008년 12월 국무총리실이 있는 1단계 1구역을 시작으로 2014년 11월 3단계 2구역까지 완공하는데 6개 공구로 나눠 조성했다.
세종청사 건립사업 중 가장 큰 예산 비중을 차지하는 건설공사에 전국 24개 종합건설사가 컨소시엄 또는 입찰 단독선정 방식으로 참여했는데 이중 향토기업은 계룡건설과 우석건설 그리고 경남기업이 청사건립에 시공사로 참여했다.
시공 계약금액 기준 정부세종청사와 신청사에 투입됐거나 집행 예정금액은 1조833억 원으로 이중 이들 세 지역기업의 시공액은 709억 원으로 사업비 대비 6.54%에 불과하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전영준 연구원은 "정부세종청사 건립사업은 대규모 입찰이 이뤄진 시장으로 지역 업체가 참여하기에는 어려운 사업 규모"이라며 "수도권 기업들도 충남과 세종까지는 직접 뛰고 있고 지역에 규모 있는 사업체가 없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 |
3단계 6개 공구로 나눠 조성된 정부세종청사는 공구마다 조금씩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
세종에서는 이미 건설사들이 유출이 본격화돼 2014년 일반건설 208개사가 세종에 본사를 두고 활동했지만, 지난해 75개사까지 감소했고, 지역기업의 역내 건설사업 수주율은 19%에 그치고 있다.
세종시 관계자는 "최근 지역 업체 간담회에서 향토기업 육성 필요성을 논의한 바 있다"라며 "계약 발주 시 지역 업체가 우선 계약이 되는 등 실질적인 지원방안이 확립되도록 중앙부처 및 공공기관에 공동노력을 요청하겠다"라고 설명했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