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그동안 특위는 10여 차례의 전체회의를 갖고 대전과 인천, 호남 등 현장 방문을 통해 이번 총선 전반에 대해 파악했다. 이후 수시로 집필 회의를 열어 글을 가다듬었다.
총선 패배 원인에 대해선 설문조사를 진행해 백서 목차를 구성했다.
취재 기자들은 1)대선 이후 이어진 중도층 지지 회복 부족 2)선거 종반 막말 논란 3)최선의 공천이 이루어지지 못함 4)중앙당 차원의 효과적인 전략 부재 등의 순으로 원인을 꼽았다.
반면 당 총선 출마자들은 1)중앙당 차원의 효과적인 전략 부재 2)최선의 공천이 이루어지지 못함 3)정부·여당의 재난지원금 지급 추진 4)대선 이후 이어진 중도층 지지 회복 부족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총선 전략과 관련해 구체적으론 보수통합과 정권 심판, 현역 물갈이만 하면 총선을 승리할 수 있다는 전략과 컨트롤 타워 부재와 분절 현상이 패배 요인으로 지적됐다.
공천과 관련해선 비례대표와 지역구 공천의 계속된 번복과 최고위와 공관위의 원만한 조율 실패로, 혼란을 유발하고 직접적인 충돌을 유발한 점이 주요 문제로 꼽혔다.
백서는 제작 과정을 거쳐 200페이지 가량의 책자 형태로 다음주 중 전국 시·도당을 통해 전국에 배포된다.
특위 위원으론 지역에서 이창수 전 대변인과 장동혁 전 부장판사가 활동했다. 이 전 대변인은 충남 천안병, 장 전 판사는 대전 유성갑에 출마했으나,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밀려 낙선한 바 있다.
서울=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