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언택트 시대, 필요한 것은 시민 중심 마을공동체

  • 정치/행정
  • 대전

[기고]언택트 시대, 필요한 것은 시민 중심 마을공동체

강영희 대전시 지역공동체과장

  • 승인 2020-09-23 08:17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KakaoTalk_20200911_135127400
강영희 대전시 지역공동체과장
봄부터 엄습해 왔던 코로나19 사태가 아직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이제는 우리의 일상에서 마스크가 마치 신체의 일부처럼 느껴지기까지 한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지속으로 격리와 경계를 미덕으로 하는 지금, 우리는 외로운 섬처럼 각자들 힘겹게 버티고 있다.

마치 영화 '캐스트어웨이'에서의 톰 행크스와 같은 모습이랄까.

주인공은 갑작스러운 비행기 사고로 무인도에 홀로 살아남게 되었다. 그와 함께 파도에 쓸려온 배구공을 '윌슨'이라 칭하고, 유일한 대화 상대 친구로 삼으며 4년을 버티어낸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파도에 놓쳐 헤어지게 되고, 마치 가족을 잃은 듯이 슬퍼한다.

윌슨은 주인공에게 단순한 무생물체가 아닌, 유대감의 대상이었다. '윌슨'을 통해 사람은 언제나 관계를 그리워하는 사회적인 동물이며, 사람 간의 소통이 생존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 시대 '사회적 거리두기'로 사람과의 관계가 잠시 멈춘 지금, 주인공 척이 무인도에서 배구공을 친구로 삼고 사람을 그리워했던 것처럼, 우리 역시 코로나 이전의 일상적인 소통들이 너무 그립기만 하다.

이러한 언택트 시대에 우리에게 진정 필요한 '윌슨'은 무엇일까? 필자는 마을공동체가 윌슨의 역할을 해줄 것으로 생각한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자발적인 마을공동체 활동들이 그 좋은 예다. 마스크 한 장을 사기 위해 줄을 서고 구하기 어려워지자 서구 월평동 마을공동체에서는 주민들이 이틀 동안 밤낮으로 면마스크 400여개를 만들어 노인복지관 등 소외된 계층에게 나누어 주었다. 마을공동체의 궁극적인 가치인 '나눔'의 실현을 통해 어려운 환경을 이웃과 함께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대전시에서는 이러한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진 다양한 마을공동체 활동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첫째, 대전형 좋은 마을 만들기 사업을 지원한다. 마을 문제를 주민 스스로 해결하는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사람중심의 도시재생을 꿈꾸는 좋은 마을 만들기 사업으로 올해에는 236개의 마을공동체가 참여하여 동네부엌과 공동육아, 환경, 교육 등 다양한 형태로 참여하고 있다.

둘째, 마을계획 수립사업을 지원한다. 마을계획 수립사업은 주민 스스로 마을의 의제를 발굴해 조사하고 마을계획과 마을총회를 거쳐 마을의 문제를 주민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마을자치의 공론장으로 올해 25개 마을이 참여해 마을 의제 45건을 발굴하였고 2021년 주민참여예산 사업으로 7억여원의 사업비를 신청해 공모했다.

셋째, 마을리빙랩 사업은 상반기 마을계획 등에서 발굴된 의제 및 지역밀착 생활실험 방식으로 주민 스스로 해결해 보는 과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내동마을의 '아파트 간 담장 트기로 소통산책길 조성' 등 6개 마을리빙랩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넷째, 마을의 유휴공간이나 행정의 공간을 마을사랑방 운영이나 공유부엌, 공동육아 등의 마을의 공간으로 만들어 주민에게 돌려주는 공유공간 지원사업을 올해에는 7개소 정도 7억5000만원 사업비로 9월 공모 추진 중이다.

마을자치를 만들어가는 사업들은 무엇보다 사회적 신뢰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한데, 코로나19 국면을 대면이 아닌 새로운 방식의 연결을 찾아가고 있다. 언택트 시대에 발맞춰 공동체 모임, 마을회의들을 비대면으로 운영하고, 온라인플랫폼인 '잇닷'을 활용하여 마을총회를 시범적으로 운영해 마을의제를 정하였으며, 줌(ZOOM)을 이용한 마을기획단 회의와 온라인마을교육, 키트배달방식의 워크숍으로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의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마을 속에서 서로를 연결하는 새로운 방식을 시민들과 함께 다양하게 찾아가면서 이웃 간 신뢰와 소통이 아름다운 '시민중심 도시 대전'을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강영희 대전시 지역공동체과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호서대' 연극트랙', 국내 최대 구모 연극제서 3관왕
  2. 아산시, 민관협력 활성화 워크숍 개최
  3. 천안법원, 공모해 허위 거래하며 거액 편취한 일당 '징역형'
  4. 충청남도교육청평생교육원, 노인 대상 도서관 체험 수업 진행
  5. 엄소영 천안시의원, 부성1동 행정복지센터 신축 관련 주민 소통 간담회 개최
  1. 상명대, 라오스서 국제개발협력 가치 실천
  2. 한기대 김태용 교수·서울대·생기원 '고효율 촉매기술' 개발
  3. 천안법원, 음주운전으로 승용차 들이받은 50대 남성 징역형
  4. 천안시의회 드론산업 활성화 연구모임, 세계드론연맹과 글로벌 비전 논의하다
  5. 세종시 '러닝 크루' 급성장...SRT가 선두주자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 충청권 역주행...행정수도 진정성 있나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 충청권 역주행...행정수도 진정성 있나

행정수도와 국가균형발전 키워드를 주도해온 더불어민주당이 '해양수산부 이전' 추진 과정에서 강한 반발과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각종 여론조사 결과 대선 득표율(49.4%)을 크게 뛰어넘는 60% 대를 넘어서고 있으나 유독 충청권에서만 하락세로 역주행 중이다. 지난 7일 발표된 리얼미터와 여론조사 꽃, 4일 공표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충청권은 호남과 인천경기, 서울, 강원, 제주권에 비해 크게 낮은 60%대로 내려앉거나 그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2026년 충청권 지방선..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조국혁신당 대전시당이 12일 유성문화원에서 '검찰개혁 시민콘서트'를 열어 당원·시민들과 함께 검찰개혁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향 등을 논의했다. 이날 행사엔 황운하 시당위원장과 차규근·박은정 의원이 패널로 참여하고, 배수진 변호사가 사회를 맡아 진행했다. 이들은 조국혁신당이 발의한 검찰개혁 5법 공소청법, 중대범죄수사청법, 수사절차법, 형사소송법 개정안·검찰독재 정치보복 진상규명과 피해회복을 위한 특별법 등의 내용과 국회 논의 상황, 향후 입법 일정·전망을 설명했다. 차규근 의원은 "수사절차법과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통해 검찰의 무차별..

무더위에 수박 한 통 3만원 훌쩍... 농산물 가격 급등세
무더위에 수박 한 통 3만원 훌쩍... 농산물 가격 급등세

여름 무더위가 평소보다 일찍 찾아오면서 수박이 한 통에 3만원을 넘어서는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1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대전 수박 평균 소매 가격은 11일 기준 3만 2700원으로, 한 달 전(2만 1877원)보다 49.47%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2만 1336원보다 53.26% 오른 수준이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2만 1021원보다는 55.56% 인상됐다. 대전 수박 소매 가격은 2일까지만 하더라도 2만 4000원대였으나 4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 물놀이가 즐거운 아이들 물놀이가 즐거운 아이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