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섬진강댐 과다 방류로 구례군은 418억 원, 하동군은 138억 원의 피해를 봤다.
정 총리는 이날 오후 먼저 하동군 화개장터 장터에 들러 윤상기 하동군수로부터 피해복구 현황을 보고받고 현장 관계자들의 노고를 격려했다.
그는 이어 "화개장터는 영·호남 지역주민들만이 아닌, 전 국민 모두가 사랑하는 곳인데, 코로나19 상황에서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보았다"면서 화개장터 상인들과 하동군 주민들에게 위로의 말을 전했다.
그러면서 "화개장터가 신속히 재개장할 수 있었던 것은 주민들의 노력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모인 자원봉사자들의 수고 덕분"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최대한 신속히 하동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복구를 지원했다"면서 "같은 지역에서 같은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임시방편이 아닌 항구적인 피해복구는 물론 기후변화까지 고려한 종합대책을 마련할 것"을 관계부처와 지자체에 주문했다.
이어 구례군 마산면 광평마을 피해 복구 현장을 찾은 정 총리는 섬진강댐 방류 문제에 대한 공정하고 투명한 조사와 책임 규명을 약속하면서 "구례군 주민들도 정부를 믿고 잘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정 총리는 또 "정부는 법과 제도의 틀 내에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겠지만, 필요시에는 국회와 협력해 제도 개선도 추진하겠다"고도 했다.
한편 섬진강댐 과다 방류로 피해를 본 지역 주민들은 정 총리의 피해복구 현장 방문에 맞춰 '섬진강 수해 참사' 등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피해 배상과 철저한 원인 규명을 촉구했다.
더불어 "피해를 일으킨 환경부가 이번 사태의 원인을 '자체조사'하면 안 된다"며 "관련 조사위원회를 환경부가 아닌 총리실 산하에 설치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정 총리는 "공정한 조사를 위해 부처들이 지혜를 모아보겠다"고 답했다.
세종=이승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