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선 7기 대전시가 최근 과학자와 과학 분야 전문 경영인을 정무직과 산하기관에 전진 배치하는 등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과학도시 대전' 만들기에 나서고 있지만, 이들 간 확실한 역할 분담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11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시는 지난 47년간 축적한 대덕특구 성과를 지역차원 과학 산업 육성으로 녹아내기 위한 지방행정 거버넌스를 구축에 나섰다. 우선 전국 최초로 과학부시장제를 도입했다. 대덕특구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출신 인사이자 과학계 원로인 김명수 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을 초대 과학부시장으로 임명했다. 여기에 대덕연구단지와 대전시를 연결할 대전과학산업진흥원(DIESTEP)도 출범시켰다. 진흥원 초대 원장으로 출연연에서 잔뼈가 굵은 고영주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을 선임했다. 여기에 앞서 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팀장을 지낸 민병권 박사를 초대 과학산업특보로 임명하고 과학·산업 현장과의 소통과 정책 지원 역할을 부여했다.
앞서 지난해 1월 조직 개편 때에는 경제과학국을 일자리경제국과 과학산업국으로 분리해 과학산업 육성 전담 체계를 구축했다.
이에 대해 현장에서는 허 시장의 과학도시 완성을 위한 의지에 기대감을 보이면서도, 우려의 시각들이 쏟아지고 있다.
먼저 과학부시장과 과학산업진흥원 원장 모두 출연연 출신이다. 더욱이 이들이 몸담았던 표준연과 화학연은 출연연 내에서 조직 규모가 큰 편이 아니다. 과학부시장은 협의회 회장을 지냈지만, 일선에서 물러난 인사다. 더욱이 이들로 인해 민병권 특보의 역할도 모호해졌다.
이들 외에도 넓게 보면 과학행정을 지원하는 과학산업국 국장과 대전테크노파크,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대전경제통상진흥원 등도 연관성을 갖고 있다. 이들 기관과의 역할 조정과 소통이 중요한 과제다.
인력이나 조직을 무작정 늘리는 것보다는 중앙정부의 실효적인 협조를 이끌어 내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민선 7기 대전시는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 사업은 해묵은 대덕특구 공간을 개선하고 생태계를 4차 산업혁명 추진을 위한 혁신 연구산업 도시로 대덕특구를 재창조한다는 게 주요 골자다. 예산 확보나 출연연 기관 협조 등을 위해 정부 주도 사업이 돼야 한다. 최근 출연연 분원으로 인한 대덕특구 역량 감소도 줄고 있다. 국감 자료에 따르면 대덕특구내 26개 정부출연연중 22개 곳이 전국에 61개 분원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중앙정부에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
대전시의 예산 지원 등 여부도 관건이다. 4차산업혁명 시대 도래로 기술 중심의 스타트업 창출이 지역성장 동력의 핵심이 됐다. 출연연이 연구과제 중심 예산지원제도로 정부 연구개발(R&D)과제 수주에 매몰돼 지역과의 협력 관계가 부족했다. 지자체가 제 목소리를 내기 위해선 관련 예산 확보가 필수다.
지역 과학계 한 관계자는 "과학도시 대전 만들기에 적극적인 민선 7기 대전시가 노력하고 있는 모습에 박수를 보낸다"면서도 "다만 조직 확대나 보여주기가 아닌 명확한 역할 분담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