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사진제공은 대전시 |
대전 트램은 서대전~도마~가수원~유성~중리~오정~대동~보문산~서대전 등 1·2구간 총연장 36.6㎞를 순환하는 노선으로, 정류장은 35개가 운영된다. 7492억원의 예산을 들여 오는 2025년 준공할 예정이다.
대전 트램은 전국 최초로 상용화되는 사례다. 처음 상용화되다 보니 관련 법·제도가 미비하고 운영 시스템도 국내 환경에 맞게 조성하는 과제가 많다.
염병수 아주대 교수는 지난 21일 열린 '대전트램 세미나'에서 이 부분을 지적하면서 트램에 대한 우선 신호체계 조성도 중요하지만, 기존 교통수단과 연계된 운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염 교수는 "트램은 철도보다는 도로에 운전대가 없는 차량이 운행한다고 보는 게 더 맞다"면서 "우선 신호 체계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는 기존 교통을 고려한 신호체계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염 교수는 운영시스템에서 '안전성'을 가장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염 교수는 "운영 효율화와 안전성 등 도시기능과 공존하는 설계가 필요하다"면서 "대중교통으로 고객 안전이 최우선이다. 자연이나 인적 재난에서 고객 주체 안전 관리 체계 마련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염 교수는 "트램 노선에 과적 차량 진입은 절대 불가하며, 속도 제한도 필요하다"면서 "요철이나 대립, 파손 우려를 방지하기 위한 노선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도로 및 주변 여건을 고려한 선형이 필요하다며 경제성을 고려해 구조물 최소화를 강조했다.
이와 함께 대전 트램 성공을 위해선 관련 법·제도 완비와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점도 꼽았다. 염 교수는 "국토부의 철도 관련법은 대부분 철도 중심 법안이다. 트램은 도로를 이용해 전혀 다른 개념 적용이 필요하다"면서 "관련 규제도 철도 중심이 아닌 트램은 자율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염 교수는 트램 사업을 위해선 접근성과 이동성을 비롯해 수송비용, 환경, 에너지효과, 신뢰성, 안전성 등 효율성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