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은 28일 충북과학고의 AI영재학교 전환을 위한 타당성 연구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뇌인지과학과 AI 전문가들이 연구원으로 활동 중인 이번 정책연구의 목적은 도교육청이 추진 중인 AI영재학교의 설립 타당성과 운영 모델 수립에 있다.
이날 공청회는 국내 AI 관련 전문가들과 충북과학고 관계자, 시민 등이 참여해 정책연구 내용을 안내하고 참가자들과의 종합토론, 질의응답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연구책임자인 이인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연구 내용 발표에 앞서 "AI영재학교 관련 정책연구는 AI영재학교와 관련한 본질적인 체계와 내용에 대한 전국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AI영재학교는 인간의 자연지능에 가까운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AI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며 "코딩·프로그래밍 위주의 교육과정을 넘어 뇌인지과학과 컴퓨터과학이 체계적으로 융합된 교육과정에 초점을 둔 교육이어야 한다"고 교육 방향을 제시했따.
이어 "충북과학고의 순수 기초과학·수학 지식을 바탕으로 뇌인지적 사고가 가능한 차세대 AI 개발 관련 문제 파악 및 해결을 위한 교육과정과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인문학적 소양 교육을 AI교육과정에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종합토론에서는 참석자들이 ▲AI영재학교의 학습공간과 복지공간 확충 ▲대학과의 연계협력을 통한 교원 전문성 강화 ▲AI영재학교 학생 선발 방식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논의했다.
도교육청은 이날 공청회와 후속 연구를 통해 다음달 중 최종 보고회를 마치고 기본 계획을 수립한 뒤 교육부 동의를 얻어 AI영재학교 설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충북과학고의 AI영재학교 전환 설립 사업은 도교육청이 지난 1월 발표한 '충북 고교혁신 미래인재육성모델'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에 있다.
청주=오상우 기자 osws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