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가 시 과학산업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김찬술 위원장은 현재 중이온가속기 구축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고 있는지 물은 뒤 "신동지구는 중이온가속기 관련된 어떤 사업을 유치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라며 "관련된 유능한 업체가 들어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300인 규모 기업이 대전에 2%밖에 안 되는데 그보다 좋은 기업을 유치해야 중이온 가속기를 제대로 이용하는 연구기업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러나 대전시는 어디에선가 기준표를 가져와 그대로 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보다 적극적으로 유망 기업 유치에 힘써야 할 것도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대전에 중이온가속기가 있으니 내려오라는 유치 행위를 누가 해야 하는가. 국장이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정사무감사에서는 대전시가 올해 확보했던 나노 관련 사업 국비 반납도 도마에 올랐다. 올해 설계비 3억 원이 확보됐으나 시설을 구축하려던 나노종합기술원 건물의 안전상 문제로 결국 사업이 무산됐다.
이광복 의원은 "115억 원 규모 국비가 들어가는 사업인데 나노산업에서 손을 떼는 것이냐"며 "안전진단에서 증축이 불가능해 사업을 포기한 것 같은데 꼭 그자리에만 했어야 하는 건지 안타깝다"고 말했다.
문창용 과학산업국장은 "KAIST 문지캠퍼스 등 다양한 장소를 찾았지만 사업을 추진하는 나노종기원도 시설 연계성 때문에 계속 진행하게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며 "후속사업이나 다른 나노 관련 사업을 협업하고 있다"고 답했다.
리뉴과학마을사업 조성의 일환인 전기순환버스 관련해 구축이 지연되고 있는 문제도 거론됐다. 당초 전기버스로 추진하려다 수소버스로 변경했다 다시 전기버스로 사업을 진행했으나 사업 기간이 연장되고 있는 상황이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