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산군이 산마다의 특색 있는 숲 가꾸기를 통한 임가의 소득향상 방안 마련에 나섰다.
군은 이를 위해 칡덩굴류 제거단을 운영해 주요 도로변의 산림을 관리하고 헛개나무 등 밀원수를 확대 식재해 양봉농가와 상생 발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을 추진한다.
또한 우산고로쇠나무, 옻나무 등 특용수 식재 및 관계자들에 대한 숲가꾸기 체험 교육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관련 군은 지난 18일 남이면 역평리 조림지에서 시행된 숲가꾸기 체험행사에서는 산림조합 등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해 5년생 소나무인 어린나무 가꾸기 시행 요령 및 침엽수 가지치기, 칡덩굴류 제거요령에 대해 체험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 지역은 2015년도에 백합나무 1.4ha, 소나무용기묘 2.3ha, 스트로브잣나무 0.7ha 등 총 4.4ha 조림이 실시된 바 있다.
군 산림녹지과 관계자는 "임가 소득증대를 위해서는 각 산의 특색에 맞는 특용수가 필요하다"며 "금산의 숲을 잘 가꿔나갈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헛개나무는 ‘지구자’라는 약명으로 ‘신수본초(新修本草)’에 처음으로 기재됐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섬서, 호북, 강소, 안휘, 복건 등이다.
헛개나무의 주요 활성성분으로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술마신 뒤 속풀이와 항간손상, 항지질과산화, 강혈당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우산고로쇠나무는 낙엽활엽 교목으로 높이 20m에 달한다. 고로쇠나무에 비해 가지에 털이 없고 과실이 대형이다. 산지에 나며 경북(울릉도 300~900m)지역에 분포한다.
금산=송오용 기자 ccmso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