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들과 몇몇 지역 인사들은 충남대의대 신설추진위원회를 운영했고, 이날 당시 박정희 대통령에게 전달할 건의문을 만들어 지역 무의촌 해소와 의료인력 양성을 촉구했다.
이를 계기로 충청권에 의과대 설립촉구 운동이 전개되면서 정부는 1969년 충남대에 의과대학을 신설하고 대전에 대학병원 시대를 열였다.
이처럼 지역 의료발전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한 대전시의사회가 내달 신임회장 선거를 예고하면서 의료계에 다양한 의제가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다.
특히, 지난해 상급종합병원 신규 지정을 얻어내지 못했다는 점에서 어떤 후보자이든 의사회에 힘을 키우는 방향으로 선거가 치뤄져야한다는 목소리다.
![]() |
제12대 대전시의사회장에 출마한 남기남 한마음가정의학과의원 원장과 김영일 충청외과의원 원장.(사진 왼쪽부터) |
지난해 대한의사협회 집단휴진과 전공의들의 의사국가시험 거부 등을 거치며 의사회 회원들 사이 갈등이 깊은 상태다.
이때문에 두 후보들의 선거구호도 '젊은의사 배신한' 또는 '휴진에 동참한 동료 의사에 대한 모욕'이라며 유례 없이 공적격 선거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에 개원 의사들은 정치적 성향의 선거운동보다 의료 수도권 쏠림을 억제하고 정책에 지역 의사들의 목소리를 반영시킬 수 있는 방향에서 선거가 진행되기를 바라고 있다.
지난해 보건복지부가 전국에 상급종합병원을 4곳 더 확대 지정할 때 도전장을 낸 대전에 대학병원이 제외된 것을 충청권 의료계가 중앙에서 소외된 대표적 현상이라는 시각이다.
![]() |
1966년 충남대 의과대 설립을 위한 추진위원회 회의 모습. |
또 주 80시간씩 과도하게 종사하는 전공의 처우를 개선하는 문제에서도 중앙정부의 의료정책을 설득할 수 있는 회장 선거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다.
대전의사회 한 관계자는 "지역의 의료를 어떻게 키울 것인지 의사회가 주축이 돼야 하고 이끌 수 있는 회장을 가리를 선거가 되야 한다"라며 "지금 같은 선거 분위기에선는 서로에게 상처만 줄 뿐이다"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