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제공: 평창군 |
문화도시 지정 공모사업은 문화적 도시재생을 수단으로 하여 도시의 성장촉진을 기대하는 사업으로 특색 있는 지역자원을 활용한 자율적이고 장기적이며 체계적인 문화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게 된다.
또한, 주민의 수요를 반영하고 계층별 세대별 교류를 촉진하는 문화프로그램을 기획. 운영. 개발하며 문화예술 기반의 주민조직을 육성하여 참여의 주체로 활동하게 하는 도시 단위의 종합적이고 중장기적인 문화 기획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군은 1차년도인 2021년에는 활발한 주민 거버넌스 조직을 통해 문화도시 조성계획을 수립하고 7월경 예비도시를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2차년도인 2022년에는 자체적으로 예비도시사업을 1년간 집중 추진하며 주민역량을 강화하게 된다.
또한, 군이 문화도시 공모사업 본 도시 지정을 받게 될 경우 3차년도인 2023년부터 향후 5년 동안 최대 200억 규모의 문화도시 프로그램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군은 지난 1월 문화예술경영의 전문 인력과 주민주도의 거버넌스 운영 역량을 갖추고 있는 평창군문화예술재단과 민관협업을 위한 TF팀을 구성하여 공모사업 취지에 적합하도록 관(官)과 행정의 주도가 아닌 주민 주도의 문화도시 조성계획 수립을 위한 출발을 하였다.
이에 따라 평창군문화예술재단은 추진위원회 및 자문단이 구성될 예정이며 문화도시 추진사업 구상 발굴에 본격 돌입하게 된다.
한왕기 평창군수는 "지금까지는 산림이든 농업이든 그 분야만의 산업이었다. 지금부터는 우리가 가진 그런 자원들을 문화와 접목해 새로운 콘텐츠를 창출해 내는 융. 복합 산업으로 살아가야 한다"며 "고령화로 다양한 세대 간의 갈등과 혐오가 있는 사람 관계의 소통도, HAPPY700으로 대표되는 우리의 자연과 도시환경도 결국은 문화가 창구 역할을 할 것이며, 우리 지역을 재구성해 낼 수 있다"라고 문화도시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평창=한상안 기자 dhlfy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