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청년구단이 입점해 있는 중앙메가프라자 건물. |
지난 24일 오후 대전중앙시장 활성화구역 상인회 소회의실에서 열린 대책회의는 대전시 소상공인과장을 좌장으로 자치구와 상인연합회 관계자 10여 명이 브레인스토밍 형태로 진행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청년구단 내 남아있는 매장의 존속을 위한 대책 마련과 상권 융성을 위한 중·장기적 활성화 방안 두 갈래로 논의가 이뤄졌다.
매장 존속을 위해서는 오는 5월 임대차 계약이 만료되는 청년 창업자들의 지속적인 매장 운영을 위해 임대료 감면 방안이 논의됐다.
청년구단을 음식점 위주로 매장을 구성하다 보니 위치에 따른 접근성 문제가 불거짐에 따라 문화예술을 가미한 볼거리 배치를 통해 머물 수 있는 공간으로의 탈바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하지만 임대료 감면이 10%에 그치고, 이마저도 메가프라자 이사회에서 자체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면서 효과에 의문을 낳고 있다.
청년구단 활성화 모색을 주도하는 과정에서 자치구는 상인회에 역할을 요구하고, 상인회는 지자체의 지원을 요구하면서 책임 주체에 대한 부재가 아쉽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통시장 살리기와 청년실업을 위해 운영된 청년구단이 결국 청년창업도 전통시장 살리기도 성공하지 못한 가운데 전문적인 대안보다 문화 콘텐츠 가미 등 기존의 대안을 되풀이하는 수준에 그친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유철 대전시 소상공인과장은 "청년구단을 음식점으로 특정해 매장을 꾸린 것은 사실상 정책 실패"라며 "중앙시장의 상품과 역사를 공유할 수 있는 중·장기적 콘텐츠를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에 청년 창업자들이 주도자로서 상권을 이끌 수 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