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학자금 대출 이용 학생수 감소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코로나19 이후 학자금 대출 이용 학생수 감소

비대면 강의 여파로 생활비 감소 영향 풀이
이용학생 41만 9942명, 전년보다 8.7% 감소
장학금 증가도 원인 대학 장학금 325억 늘어

  • 승인 2021-09-03 09:50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학자금 대출
최근 3년간 학자금 대출 이용률. 사진=교육부 제공.
코로나19 이후 학자금 대출을 이용한 대학생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수업이 이뤄지면서 생활비가 줄어들어 대출이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3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따르면 전국 4년제 일반대학과 교육대학 195개교 등의 '2021년 8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보면, 2021년(2020년 2학기·2021년 1학기)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을 이용한 학생 수는 41만 9942명으로 전년(45만 9872명)보다 3만 9930명 감소했다. 수치로 환산하면 8.7% 줄었다.

세부적으로는 일반상환 학자금대출 이용자 수는 17만 9357명으로 전년(19만 1512명)보다 1만 2155명 감소했다.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이용자수는 24만 585명으로 전년(26만 8360명)보다 2만 7775명 감소했다. 수치로 각각 6.3%, 10.3% 줄었다.



학자금 대출 이용률도 감소세를 보였다. 학자금 대출 이용률은 전체 재학생 수에서 학자금 대출 이용 학생 수를 나눈 것이다. 이용률은 12.8%로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13.9%)보다 1.1%p 감소했다.

사립대학의 학자금 대출 이용률은 13.9%로 국공립대학(9.4%)보다 4.5%p 높았다. 수도권대학은 13.6%로 비수도권대학(12.1%)보다 1.5%p 높았다.

장학금이 늘어난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학생 1인당 교육비는 1614만 8000원으로 전년보다 27만1000 원 늘었다. 학생 1인당 교육비는 재학생을 기준으로 학교가 학생의 교육과 교육 여건 조성을 위해 투자한 인건비, 운영비, 장학금, 도서 구매비, 실험실습비 등을 말한다. 일반·교육대학의 장학금 총액은 4조6714억 원으로 전년보다 325억 원 증가했다.

재원별 구성을 보면, 국가 장학금이 2조 7358억 원으로 58.6%를 차지했고 교내 장학금이 1조7690억 원(37.9%), 사설 및 기타기관 장학금이 1435억 원(3.1%) 등이었다.

수도권대학은 358만 5000원으로 전년(346만 6000원)보다 11만 9000원(3.4%), 비수도권대학은 364만 6000원으로 전년(354만 5000원)보다 10만 1000원(2.8%) 증가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남대-국립공주대, 대학본부 구성원 간담회… 통합대학 직원 인사방침 합의
  2. 순천향대,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등과 'AI의료융합 산업 생태계 조성 업무 협약
  3. 아산축협-아산먹거리재단, "우리 지역 제철 농산물 싸게 사세요"
  4. 음봉면-주민자치회, 위기가구 발굴 업무협약 체결
  5.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1.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2. [부고]마정미 한남대 교수 시모상
  3. 파주시, 국공립어린이집 3개소 8월 1일 개원
  4. 재전부여군민회에서 부여군에 수해복구 기부금 1000만 원 전달
  5. 2025 세계모유수유주간 슬로건 '모유수유를 최우선으로!'

헤드라인 뉴스


한 발짝 남은 본지정… 대전지역 글로컬 소외 없어야

한 발짝 남은 본지정… 대전지역 글로컬 소외 없어야

'글로컬대학 30 프로젝트' 마지막 본지정 도전에 나선 대전지역 예비지정 대학들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8월 11일까지 교육부에 실행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는 가운데, 각 대학은 사업계획을 정비하며 막바지 총력전에 돌입했다. 올해 대전권 예비지정 대학은 충남대(국립공주대와 통합형), 한남대, 한밭대 등 3곳이다. 학령인구 감소와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들은 글로컬사업 진입이 생존을 위한 절박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동안 대전에서는 본지정에 성공한 4년제 대학이 한 곳도 없었고, 대전충남세종지역 거점국립대인 충남대마..

李정부 국정과제에 대전 현안 사업 담길까 촉각
李정부 국정과제에 대전 현안 사업 담길까 촉각

대전 현안 사업들이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로 선정되며 동력을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행정당국은 추진에 난항을 겪는 사업들이 새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력을 쏟고 있는 만큼 어떤 현안이 얼마나 채택될 수 있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3일 국정기획위원회에 따르면 이달 중순 전략과제와 국정과제, 세부 실천 과제를 정리해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예상되는 건 이재명 정부의 5개년 국정과제를 우선순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전략과제 20개와 국정과제 120여 개를 선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 후보 시절 210조 원의 재원..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체감 `뚝`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체감 '뚝'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의 7월 체감 경기가 바닥으로 고꾸라진 것으로 집계됐다. 7월 말부터 소비쿠폰이 지급되며 현장에서 느끼는 소비 촉진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8월 전망치도 소폭 반등하는 데 그치면서 어려운 경기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는 이들이 많았다. 3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소상공인시장 경기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이 느끼는 7월 경기 체감 지수는 모두 주저앉았다. 경기 동향 조사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사업체 운영자의 체감 경기 파악을 통해 경기 변화에 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