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유통점 지역환원금이 왜 시장 공약에 사용?

  • 경제/과학
  • 유통/쇼핑

대형유통점 지역환원금이 왜 시장 공약에 사용?

대전시 지역균형발전기금에 지역환원금 포함....현대아울렛 지역환원금 상인단체와 합의 없어
"대형점포 피해 당사자는 중소상인"

  • 승인 2021-11-30 16:23
  • 수정 2021-12-01 17:08
  • 신문게재 2021-12-01 1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2020062401002074700082671
대전 현대아울렛.
대형점포의 지역 입점시 대전시가 거둬들인 지역환원금이 실질적 피해자인 중소상인의 지원대신 시장의 공약 사업의 예산으로 책정돼 논란이 일고 있다.

지역 중소상인들은 코로나 팩데믹이 2년여간 계속된데다 대규모 자본을 앞세운 대형점포의 입점으로 매출이 크게 곤두박칠을 치고 있지만 시가 이 같은 상황을 무시한채 엉뚱한 돈으로 생색내기를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1월 30일 대전지역 중소상인회에 따르면 대전시는 2019년 4월 지역균형발전기금 마련을 위한 '대전광역시 지역균형발전기금 조례'를 제정하고 재원 마련에 돌입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의 공약 중 하나로 지역균형발전기금은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위해 사용된다. 올해 350억원 규모의 사업을 선정해 일부 지원도 마쳤다. 시는 이 균형발전 기금을 2023년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문제는 이 균형발전 기금에 대형 점포들이 입점하며 대전시에 기부한 지역환원 기금이 포함돼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대전시는 균형발전기금 조례를 제정한 후 7개월 뒤인 2019년 11월 현대아울렛으로부터 지역환원금으로 40억원을 받아 일반회계 전입금 360억 원을 포함해 400억 원을 균형발전기금으로 조성했다. 현대아울렛은 대전시에 60억원의 지역환원금을 약속했으며, 20억은 아직 납부하지 않은 상태다.

대전시는 지역환원이 민간이 시에 자발적으로 환원하는 금액이라는 점을 들어 사용처는 시의 재량이라는 입장이지만, 전문가들은 대형점포로 가장 피해를 본 상인들을 위해 쓰여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원종문 남서울대 유통학과 교수는 "현대아울렛이 이익을 발생시켰을 때 가장 손실을 본 경제주체는 중소 상인"이라며 "지역환원금 활용방안에 대해 상인과 협의하지 않는 것은 최소한의 예의도 갖추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광진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위원장은 "지역환원금을 균형발전기금에 포함하는 조례 자체가 잘못됐다"라며 "지역환원금은 재단을 만들어 소상공인 지원·협력을 위해 써야 한다"라고 말했다.

상인단체도 비판을 가세했다. 장수현 대전상권발전위원회장은 "주민 생활기반시설 건축은 시 예산으로 해결할 문제"라면서 "시가 상인들을 무시한 꼴"이라고 주장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출연을 약속할 경우 시에서 받으려면 명목이 있어야 하는데 조례가 없었다"라며 "그래서 지역환원금을 지역발전기금에 명시했다"라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1.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4.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