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 사람들
  • 뉴스

[인터뷰]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중도일보 오피니언면 세상속으로 필진, 충남대 여성젠더학과 협력교수로서 <꼰대의 변명> 발간하다
대전에서 페미니스트 지성인 양성에 불 붙인 주인공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영문학 텍스트 해석하는 학자

  • 승인 2022-02-09 10:13
  • 수정 2022-02-09 17:12
  • 신문게재 2022-02-10 7면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김명주 교수
“이 책은 제가 40대 초반부터 최근 60세까지 약 20년 동안 중도일보 등 각종 언론에 썼던 글들과 여기 저기 흩어져 있던 서평을 모았습니다.부디 이 책이 누군가에게 작은 위로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중도일보 오피니언면에 ‘세상속으로’ 칼럼을 쓰고 있는 김명주 충남대 여성젠더연구소 소장(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여성젠더학과 협력교수)이 <김명주 칼럼집 ‘꼰대의 변명’>을 발간한 뒤 9일 중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꼰대의 변명
김명주 소장은 “요즘의 글이든 과거의 글이든 편집 차 쭉 다시 읽으니 역시나 꼰대스러운 글 투성이”라며 “그래서 책 제목을 ‘꼰대의 변명’으로 붙였는데 영문학자로서 이따금 전공 분야에서 벗어난 소견을 감히 웅얼거리니 각 방면의 전문가들에겐 선무당 사람 잡는 잡소리처럼 들릴 지도 모르고, 웬만한 충고는 모두 구차한 군소리로 들릴 젊은 세대에겐 더욱 꼰대스러우리라는 우려와 자의식이 발동한 까닭”이라고 말했다.

김 소장은 “20년 동안 여기에 모은 글만 쓴 것은 아니고, 논문도 썼고 책도 썼지만 이 짤막한 글들에서는 그 때 그 때의 느낌들을 담아 제 삶의 궤적을 고스란히 보여드린다”며 “제 삶의 궤적이 제가 아닌 누군가에게 위로가 된다면 저의 꼰대스러움에 변명의 여지가 생길 것도 같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또 “1장 ‘소견’은 중도일보 칼럼에 썼던 최근 2,3년간의 글로, 그 때 그 때 세상 돌아가는 일에 대한 소견을 담고 있지만 일상적 소회담도 섞여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2장 ‘소회’는 충남대 임용 초기 가벼운 신변잡기류 글인데 아직 딸들이 어릴 때라서 일과 가정의 균형을 잡느라 고심하는 글이 많고, 더러는 세상사에 대한 논평도 들어있다”고 전했다. 또 “3장은 학회지와 시집 등에 실렸던 서평에 가까운 글”이라고 말했다.

김 소장은 “이 책의 글은 자꾸만 부서지는 자아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써졌다”며 “이름도 형식도 없이 미처 태어나지 못한 채 존재하던 아이디어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이기도 하고, 막연하고 모호한 느낌들에 언어를 부여하면서 어슬렁거리는 생각을 정리해보려는 시도였다”고 전했다.

한편 김 소장은 대전여고와 충남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뉴멕시코대학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는 <여성의 性이 聖스러웠을때>가 있고, 역서로는 <페미니즘 이론과 비평-이론을 통한 현대 여성 소설 비평하기>,<다시 태어나는 여신(공역)> 외 다수가 있다. 논문은 <동물되기, 풍경되기:마가렛 앳우드의 ‘서피싱’>,<뱀, 그 혐오와 매혹:존 스타인벡의 단편 ‘뱀’ 다시 읽기> 등 다수가 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7차 지역정책포럼
  1.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2.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3.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4.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5.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