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집정비 난항…대전형 뉴딜 사업으로 풀 수 있나

  • 정치/행정
  • 대전

빈집정비 난항…대전형 뉴딜 사업으로 풀 수 있나

철거 강제 이행금 부과할 수 있지만 실제 집행 어려워
정비돼도 구청 소유 아니라 시민 영구 사용할 수 없어
시, 주거환경 정비 기금 등을 통해 빈집 매입해 정비 계획

  • 승인 2022-05-16 17:09
  • 수정 2022-05-17 06:57
  • 신문게재 2022-05-17 2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속보=소유주의 반대로 빈집 정비사업 실적이 저조한 가운데 법 개정을 통해 철거 강제이행금 부과할 수 있게 됐지만 사유 재산권 때문에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

소유주 동의를 얻어 철거 후 공영주차장 등으로 조성해도 시민들의 영구적인 사용도 어려운 실정이다. 사업 자체가 소유주의 동의에 의지할 뿐 행정에서 직접 빈집을 매입하는 것이 아니다 보니 나타나는 한계인데, 대전시는 대전형 뉴딜 사업으로 빈집 매입을 통해 정비를 진행하겠단 계획이다.

16일 대전시에 따르면 빈집정비사업은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것으로 빈집을 개량하거나 철거해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사업이다. 법에 따라 빈집 등급이 나뉘는데 1~2등급은 상태가 양호한 빈집이며 3~4등급은 노후도가 심해 철거가 꼭 필요한 대상지다. 올해 3월 말 기준 대전의 3~4등급 빈집은 721곳에 달하며 동구(238곳), 중구(274곳)에 가장 많다.

그동안 소유주의 동의 없이는 빈집 정비가 어려웠지만 2021년 10월 법 개정으로 빈집 조치 명령을 따르지 않을 경우 소유주에 강제 이행금을 부과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대전에선 지금까지 부과된 사례는 없다. 대전세종연구원 관계자는 "부과되면 실질적으로 개인의 재산권 침해이기 때문에 소유주가 역을 걸고넘어지면 구청 입장에선 굉장히 큰 부담으로 들어와 집행이 쉽지 않다"고 했다.

KakaoTalk_20220516_152532405
대전 동구 내 빈집 모습 (사진=정바름 기자)
간신히 소유주의 동의를 얻어 정비사업으로 예산 들여 공영주차장 등을 조성해도 구청이 소유할 수 없기 때문에 소유주와 협의한 활용 기간이 지나면 개인재산으로 돌아가는 것도 문제다. 소유주의 의사에 따라 시민이 이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현재 활용 기한은 동구와 중구는 2년 이상, 서구와 유성구 3년 이상, 대덕구는 4년 이상으로 정해놨다. 모 구청 관계자는 "소유주와 협의한 기간이 끝나면 그 이후에 소유주가 그 공간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구청에서 다시 확인해보진 않는다"고 말했다.

빈집 정비 사업에 한계가 있는 가운데 대전시는 대전형 뉴딜 사업을 통해 빈집을 매입해 효과적으로 정비하겠단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사업비 100억원 정도 예상하고 있고 40곳 정도 정비 계획하고 있는데 작년에 법이 개정되면서 주거환경 정비 기금이란 것이 생겼다"며 "그 기금을 활용해 빈집 밀집 지역의 여러 빈집을 매입해 생활 인프라로 계획하고 있다. 지금까지 빈집 사업은 국비 지원이 안됐는데 행안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도 추진 중"이라고 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 천안 신방점 등 충청권서 2곳 폐점
  2. 충남콘텐츠진흥원, '나의 친구 윤봉길' 특별상영회 성료
  3. 과학과 놀이의 신세계로 초대합니다! 대전미래과학체험관 '꿈돌이오락실'
  4. '모두가 특별해지는 세종교육' 우즈베키스탄도 반했다
  5. 국내 AI 연구 이끄는 KAIST… 국가 R&D 과제 다수 참여, 핵심 역할 맡아
  1. 천안을 이재관 의원, 2025년 상반기 행안부 특교 8억원 확보 쾌거
  2. "오빠 어딨냐고 일본 형사들이 찾아왔지, 유해가 돌아와 여한이 없어"
  3. [세종 다문화] 7월 14일 북한이탈주민의날을 아시나요?
  4. 소방서에 커피 50잔… 세종 고교생 소비쿠폰 사용법 '감동'
  5. [세종 다문화] '세종 생생정보통 다문화 기자단' 출동!

헤드라인 뉴스


전세사기 업자와 금융기관 뒷거래 혐의…검찰, 새마을금고 임직원 기소

전세사기 업자와 금융기관 뒷거래 혐의…검찰, 새마을금고 임직원 기소

대전 깡통주택과 전세사기 범행의 자금줄이라고 의심 받아온 대전지역 모 새마을금고에서 전·현직 임직원이 무더기로 기소됐다. 낮은 담보와 신용평가 점수임에도 대가를 받고 대출 가능 한도를 넘어서는 대출을 승인해 전세사기 범죄가 시작될 수 있었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대전지검 공판부(부장검사 최정민)는 14일 대전지역 최대 규모의 모 새마을금고 이사장 A(60대)씨를 불구속 기소하고, 전 전무이사 B(50대)씨를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겼다고 밝혔다. 또 B씨의 이부형제이면서 브로커 역할의 건설업자 C(38)씨를 구속기소하고, 자금세탁을..

전국 각지에서 찾아… `직장인 밴드 대전` 16일 대망의 본선
전국 각지에서 찾아… '직장인 밴드 대전' 16일 대망의 본선

중부권 최대 직장인밴드 음악경연 대회인 '2025 직장인 밴드 대전'이 한층 더 화려해진 무대로 찾아온다. 중도일보 주관으로 열리는 직장인 밴드 대전은 대전 대표 축제인 '0시 축제' 기간 마지막날인 16일 대전 중구 우리들공원 특설무대에서 대망의 본선이 진행된다.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리는 직장인 밴드대회는 대전을 넘어 중부권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 각계각층에서 주축으로 활동하고 있는 직장인들의 잠재돼 있던 끼와 열정을 발산, 미래 발전 동력으로 삼고 지역 문화 중흥을 위해 마련됐다. 특히, 첫 대회 때..

신임 교육부장관에 최교진 세종교육감 지명...최종 인선 주목
신임 교육부장관에 최교진 세종교육감 지명...최종 인선 주목

3선의 최교진(72) 세종시교육감이 13일 이진숙 후보 낙마 이후 신임 교육부장관에 지명됐다. 이재명 정부는 그동안 걸어온 이력과 일선 교육 경험,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 충청권 인사 안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 같은 결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 충청권 다른 인사 2명 외 다른 지역 교육 인사도 후보군에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최 교육감으로 무게 중심을 실었다. 최 교육감은 그동안 혁신학교와 고교 상향 평준화, 공교육 강화, 초등학교 학력 시험 폐지, 캠퍼스형 고교 설립, 고교 학점제 선도적 시행 등으로 세종형 교육의 모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통행 방해하는 인도 위 쓰레기 통행 방해하는 인도 위 쓰레기

  •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 천 개의 마음 모여 완성한 대형 태극기

  • 국군간호사관학교 67기 생도 ‘나이팅게일 선서’ 국군간호사관학교 67기 생도 ‘나이팅게일 선서’

  •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들 대전서 표심 경쟁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들 대전서 표심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