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일 대전세종연구원 주최로 열린 2022 정책엑스포에서 '일류경제도시 실현을 위한 방향과 과제'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이날 주제 발표에서 황혜란 대세연 수석연구위원은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모빌리티, 로봇 등 초격차 기술기반 기업(딥테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면서 대전의 기술기반기업의 혁신생태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중기부는 지난 3일 초격차 초기창업기업 육성 전략을 발표하고 2023년부터 5년간 2조원 민관 공동자금을 투입하기로 했다.
대전은 연구소기업, 고기술업종, 혁신형기업, 높은 벤처기업 밀집도를 갖고 있어 혁신기반 성장 잠재성이 높은 도시다.
하지만, 연구개발특구 내 출연연 등 기술공급 기관의 기술사업화 성과 정체, 기술기반 기업의 긴 회임 기간으로 인한 성과창출 지연, 기술기반 기업의 임계규모 한계 등 구조적 한계가 큰 것이 현실이다.
황 연구위원은 "대전은 연기기관이나 대학연구센터 등 지식창출기관으로부터의 창업이 가능해 딥테크 창업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 "플랫폼형 창업지원 인프라 구축, 국가 기술인큐베이팅 허브 조성, 스케일업 시스템 구축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특히 국가 수준의 기술 인큐베이션 시스템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황 연구위원은 "기술개발은 했지만, 연구기관 중심이다 보니 사업화 단계까지 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기술개발에서 사업화 단계까지의 범용 기반기술지원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이상호 산업연구원 지역산업입지실장은 "미국이 최근 백인 중산층 붕괴가 심각하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라면서 "지역 내 앵커기업을 성장 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중간 단계 기업 성장도 함께 시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병철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융합혁신본부장은 지자체의 지원 방식의 문제를 지적했다. 최 본부장은 "지원 방식의 제도 자체를 기업이 아닌 지원기관이 만들고 있다. 지역 실정에 맞는 독창성 있는 맞춤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성공한 기업보다는 성공하지 못한 기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 플랫폼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주지훈 대전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수석연구관은 "대전에서 개발한 기술이 대전에서 시연되고 홍보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면서 "대전이 기술 개발부터 사업화의 어떤 단계까지 책임질 수 있는지 범위를 정하고 그에 맞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성을현 충남대 연구교수는 혁신 네트워크 구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퇴직자를 활용한 기업 네트워크 조성을 제안했다.
한편, 이날 주제 발표에서는 김기희·남영식 대세연 연구위원은 신성장산업의 인력수급을 대전과 세종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